SBS Biz

"'의대쏠림' 막자"…이공계 석박사 인건비 제도 개선 추진

SBS Biz 우형준
입력2023.05.26 12:01
수정2023.05.26 16:55


정부가 박사후 연구원(포닥)을 관련법에 명문화해 법적 지위를 보장하기로 했습니다.

이공계 석·박사생이 일정 수준 이상 인건비를 받고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도 추진합니다.

정부는 오늘(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2차 인재 양성 전략회의를 개최하고 '이공분야 인재 지원방안'을 논의했습니다.

박사후 연구원에 법적 지위 보장

정부는 우선 고등교육법을 개정해 대학 구성원에 교원, 행정직원에 더해 박사후 연구원을 명문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박사후 연구원이 관련법에 명시돼 있지 않아 지원 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지적을 반영한 조치입니다.

국방 의무를 수행하면서도 지속적인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장교 신분으로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연구하는 과학기술전문사관 규모는 올해 25명에서 2026년 50명으로 늘리고, 지원 대상도 현재 학부생에서 석사 학위생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합니다.

이공계 석·박사생 인건비 제도와 장학제도도 손질합니다.

정부는 대학원생이 연구과제를 수행할 때 일정 비율 이상 인건비를 받을 수 있도록 사업 개편을 추진하고, 집단 연구비의 일정 비율을 학생 인건비로 지급하는 방안도 추진합니다.

정부 연구·개발(R&D) 사업에서 학생 인건비를 현재 석사 월 220만원, 박사 월 300만원에서 상향할 수 있도록 제도도 개선하기로 했습니다.

대학원 대통령과학장학금도 도입해 이공계 대학원생에 대한 국가장학금 지원 사업도 확대합니다.

정부가 석·박사생 인건비 제도를 손보는 것은 이공계 석·박사생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부족하다는 지적 때문입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박사후 연구원의 평균 세전 연 소득은 자연 계열의 경우 4천391만원, 공학 계열 4천389만원에 그쳤습니다.

비슷한 기간 공부하는 의사의 경우 초봉이 억대에 달하는 상황에서 이공계 석·박사의 열악한 처우 때문에 의대 쏠림이 가속하고 이공계 기피 현상이 두드러진다는 비판이 계속해서 제기됐습니다.

신진연구자를 위해 정부 지원 과제도 점차 늘려나가기로 했습니다.

이와 함께 정부는 지식재산권(IP)을 기반으로 한 보상 체계도 정비하고,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술·연구 능력을 보유한 이공계 인재의 창업을 지원하는 대책도 마련해나갈 계획입니다.

외국 이공계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정부초청장학생(GKS) 첨단분야 R&D 트랙을 확대하고, 외국 인재의 국내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기술창업 비자(D-8-4)의 창업 초기 체류 기간을 1년에서 2년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청소년 이공 분야 인재를 길러내는 영재학교에 대해서는 내년부터 성과 평가제를 도입해 우수학교로 평가되면 인센티브를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아울러 교육청별로 과학고를 '자율학교'로 지정해 일부 과목의 편성 학점을 감축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탄력적인 교육과정 편성 여건을 제공합니다.

정부는 또 퇴직연구자의 지속적인 경력 개발을 위해 중소·중견 기업 재취업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합니다.

'여성과기인법'을 개정해 여성 연구자의 돌봄을 지원하거나 보직 목표제를 도입하는 등 여성 연구자의 경력 개발 지원 방안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에너지·녹색산업 인재 10만명 양성
정부는 녹색산업 인재 양성 방안인 '에코업 인재 양성방안'과 에너지 신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에너지 인력양성 중장기 전략'도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2027년까지 녹색 인재 8만명을 추가 양성하기 위해 특성화대학원(고급), 특성화고(초급)는 기업 수요에 따라 분야를 확대하고, 선도·혁신 융합대학(중급)을 신규 지정하기로 했습니다.

다양한 학문·전공 간 융복합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전공 제약 없이 수강할 수 있는 '에코업 혁신 융합대학'도 올해부터 운영합니다.

정부는 또 2030년까지 에너지 전문 인력 2만명을 육성하기 위해 원자력, 에너지효율, 수소 등 14대 유망분야 118개 과제에 대한 원천기술·융합·산업인력 양성 로드맵을 마련해 7월 중 발표할 계획입니다.

에너지융합대학원은 현재 16개에서 2025년 20개로 확대하고, '수출 특성화 인재 육성 프로그램'을 신설해 글로벌 최상위 대학·연구기관과 에너지 정책 공동 연구도 추진합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우형준다른기사
로봇·방산 등 내년 첨단전략산업에 정책금융 25.5조원 투입
에몬스가구 하도급법 위반에...중기부, 공정위에 고발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