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SBS Biz

한은 "경기 부진 장기화 시 취약부문 위험 현실화 우려"

SBS Biz 최나리
입력2023.05.25 13:59
수정2023.05.25 14:03

//img.biz.sbs.co.kr/upload/2023/03/10/UKe1678414384107-850.jpg 이미지
한국은행이 "경기 부진이 장기화하면 취약 부문의 리스크(위험)가 현실화할 우려가 상존한다"고 밝혔습니다.

한은은 오늘(25일) 수정 경제 전망과 함께 발표한 '금리 인상 이후 우리 경제 상황 평가·시사점' 보고서에서 이런 진단을 내놨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팬데믹(대유행) 정상화와 함께 국내외 금리 인상이 시작된 이후 한국 경제의 경우 IT(정보기술) 제조업과 수출을 중심으로 경기 부진 현상이 심해졌습니다.

이 과정에서 가계·기업도 부정적 영향을 받았지만 팬데믹 특수와 초과 저축, 고용 안정 등이 완충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하지만 과거보다 높은 수준의 금리가 상당 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위험은 계속 누증될 수 있다는 게 한은의 전망입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잠재 리스크가 부문 간 연계돼있고, 민간의 완충 여력도 전반적으로 줄어들고 있다"며 "취약 부문 리스크가 현실화할 경우 다른 부분으로 확산할 가능성도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아울러 "이런 관점에서 국내 경제에는 현재 인플레이션(물가 상승)과 함께 경기 하방, 금융 불안 리스크가 모두 잠재된 것으로 판단된다"며 "더구나 그동안 충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 대면 서비스 중심 회복, 각종 지원 조치 등이 중장기 측면에서는 저생산성 부문 위주의 고용 증대, 한계기업 잔존 등을 통해 경제 전반의 생산성을 저하할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한은은 "향후 거시정책은 데이터를 통해 경기·물가·금융안정 리스크의 변화를 면밀히 점검하면서 운용할 필요가 있다"며 "긴 시계에서는 신성장 산업 육성, 공급망 다변화 등 중장기 구조개혁 노력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최나리다른기사
이찬우 농협금융 회장 "ESG 체계 정교화해 미래 준비할 때”
KB국민은행, 비대면 방카슈랑스 가입단계 간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