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평균 연봉 1억1000만원…더이상 '신의 직장' 아니네?
SBS Biz 김기호
입력2023.05.15 11:30
수정2023.05.15 17:21
10여년 전만 해도 국내 최고 연봉으로 '신의 직장'이라고 불렸던 금융감독원의 직원 처우가 국내 금융사의 중간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15일) 금감원 경영정보 공개에 따르면 지난해 금감원 정규직 직원의 평균 연봉은 1억1천6만원이었습니다.
정규직 직원의 평균 연봉은 10년 전인 2012년에는 9천196만원으로 은행 등 금융사들을 크게 웃돌아 '고액 연봉'의 대명사로 불렸습니다.
하지만 2018년 금감원 정규직의 평균 연봉이 1억538만원을 기록한 이래 2019년 1억517만원으로 줄었고 2020년1억657만원, 2021년 1억673만원으로 최근 5년간 연봉 인상액이 468만원에 그쳤습니다. 공공기관에 준하는 임금 규정을 적용받았기 때문입니다.
금감원은 올해 예산 또한 직원 평균 연봉을 1억328만원으로 잡아 성과급을 예년 수준인 50만~600만원 정도 받는다고 해도 지난해와 연봉이 별로 달라지지 않을 전망입니다.
금감원 직원들의 연봉은 금융사와 비교하면 중위권 수준입니다.
은행의 경우 하나은행의 작년 평균 연봉이 1억1천459만원, KB국민은행은 1억1천369만원이었습니다.
인터넷 전문은행인 토스뱅크의 평균 연봉은 1억1천900만원, 카카오뱅크는 1억4천600만원에 달했습니다.
2금융권인 카드사도 금감원보다 상대적으로 처우가 좋았습니다. 삼성카드의 지난해 직원 평균 연봉은 1억3천900만원, 신한카드와 KB국민카드는 각각 1억2천700만원, 현대카드는 1억2천만원, 하나카드는 1천1천300만원이었습니다. 재보험사인 코리안리는 1억5천700만원이었습니다.
보험사의 경우도 삼성화재의 직원 평균 연봉이 1억3천600만원, 신한라이프가 1억2천400만원, 메리츠화재가 1억2천만원, 현대해상이 1억1천100만원이었습니다.
18개 증권사의 지난해 평균 연봉은 1억4천538만원으로 메리츠증권은 직원 평균 연봉이 2억30만원에 달했습니다.
금융사 중 직원 처우가 가장 낮은 저축은행 중에서는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이 지난해 평균 연봉이 9천800만원, 페퍼저축은행이 8천800만원, SBI저축은행이 8천500만원이었습니다.
이처럼 금감원 직원의 처우가 나빠지는 가운데 업무 강도는 세지자 지난해에만 30여명이 은행과 보험, 가상자산업계 등으로 이직했습니다. 이러다 보니 금감원은 인력 보강을 위해 공채 외에 경력직 수시 채용까지 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한편, 금감원장 연봉은 지난해 성과급 1억3천여만원을 포함해 3억6천3만원으로 일반 금융사 최고경영자가 받은 연봉의 하위권 수준이었습니다.
금감원장 연봉은 2018년 3억1천104만원, 2019년 3억4천563만원, 2020년 3억4천402만원, 2021년 3억5천396만원이었습니다.
반면, 지난해 주요 금융그룹 회장들은 많게는 18억원에서 적게는 9억원의 연봉을 받았습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청년 '저축지원' 부모소득 안 본다…자기돌봄비 200만원
- 2.'16만원 표 2장에 180만원, 누구 공연이길래?'…인터파크 "가만 안둬"
- 3.많이 아프면 자식 있어도 '의료급여' 받는다
- 4."일본 여행 갈 때 '이것' 빼세요"…日공항서 집중단속 뭐지?
- 5.100억원 뚫었다…성수동 '이 아파트' 집주인 싱글벙글
- 6."추석 때 KTX 40% 깎아줍니다"…특가상품 놓치지 마세요
- 7.'역대급' 전기요금 고지서 온다…추가 인상도 '코앞'
- 8.건축상 받은 부산 건물 베낀 짝퉁, "싹 철거하라" 첫 판결
- 9.[단독] 추석 대목에 광동제약 영업정지…홍삼·비타500 발 묶여
- 10.SBI저축銀, 정기예금 금리 0.4%p 인상…최고 연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