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개보위, '정부용 챗GPT' 도입에 "개인정보 보호지침 마련"

SBS Biz 신채연
입력2023.04.14 16:00
수정2023.04.14 16:00


정부가 오늘(14일) 챗GPT 같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정부 전용 초거대 AI를 만들겠다고 예고하면서 이에 대비한 개인정보 보호 원칙도 명확히 세울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이날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가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을 보고하는 자리에서 올해 6월까지 'AI 데이터 안전 활용 정책방향'을 수립하겠다고 전했습니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챗GPT 등 민간의 초거대 인공지능(AI) 인프라에 정부 문서, 보도자료를 학습시켜 정부 전용 AI를 만들어 이를 복지, 민원 업무 전반에 적용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이에 개인정보위는 올해 6월까지 데이터 수집-AI 학습-서비스 제공 등 전 과정에서 지켜야 할 개인정보 보호원칙과 데이터 처리기준을 제시할 방침입니다.

특히 AI 학습을 위해 공개돼 있는 정보나 사용자가 생성한 데이터가 빈번하게 수집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명확한 원칙을 세울 예정입니다.



한편 이날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장은 챗GPT 국내 이용자가 220만 명에 달한다는 답변을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로부터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고 위원장은 "오픈AI 측과 소통 창구를 개설했고, 한국인 이용자가 220만 명이 있다는 설명을 들었다"면서 "한국의 데이터가 AI 모델을 구축하는 데 활용된 바 있는지, 활용됐다면 어떤 식으로 학습 데이터에 쓰였는지 현황파악을 시작한 단계로, 아주 초기 단계라고 보면 된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현재 개인정보위가 궁금해하는 내용을 내부적으로 정리하고 있으며, 국민의 데이터가 적절하게 보호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은 앞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신채연다른기사
오리온, 지난해 영업이익 5천억 돌파…매출도 첫 '3조 클럽'
동원F&B, 지난해 영업익 10% 증가…"수출 수익성 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