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달 뒤태는 이렇게 생겼구나…다누리, 국내 최초 달 뒷면 촬영

SBS Biz 배진솔
입력2023.04.12 16:50
수정2023.04.12 17:56

[다누리가 촬영한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 (영상폭 55㎞) (자료=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달 궤도선 '다누리'가 지구에서는 볼 수 없는 달 뒷면의 생생한 지형을 우리나라 최초로 촬영해 보내왔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 고해상도 영상을 오늘(12일) 공개했습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다누리는 지난달 22일 고해상도카메라(LUTI)로 달 뒷면 대형 크레이터(충돌구)인 '치올콥스키 크레이터' 지역을 촬영했습니다.

치올콥스키 크레이터는 지름 180㎞ 크기로 중간에 바닥부터 3천200m 이상 솟은 봉우리가 특징입니다. 러시아 루나 3호가 처음 발견해 로켓 이론 선구자인 러시아 우주비행 과학자 콘스탄틴 치올콥스키의 이름을 붙였습니다.

다누리가 촬영한 영상에서는 달 지표면 충돌구부터 충돌구 속 우뚝 솟은 봉우리 등 자세한 형상까지 선명하게 보입니다. 

지난달 24일에는 슈뢰딩거 계곡 지역과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 지역도 촬영했습니다.

슈뢰딩거 계곡은 길이 320㎞, 폭 8~10㎞ 계곡으로 슈뢰딩거 충돌구가 만들어질 때 여러 개로 쪼개진 작은 운석 무리가 줄지어 충돌하면서 함께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지형입니다.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는 달 뒷면 북위 31도 부근 지름 23㎞ 분화구로 주변 테두리가 후속 충격으로 모양이 변형된 형태입니다.
 


이번에 촬영한 영상은 향후 달 지표 구성 성분이나 충돌구 내 봉우리 형성 과정 등을 이해하는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습니다.

과기정통부와 한국천문연구원은 다누리에 탑재된 광시야편광카메라로 비흐만 크레이터를 촬영한 영상도 공개했습니다.

이 카메라는 달 표면 토양과 입자크기, 조성에 따라 빛 반사 특성이 다른 것을 이용해 표토입자 크기와 조성을 알아내는 장비입니다.

이번 촬영 영상에서 파장과 편광 필터 종류에 따라 밝기가 달라지는 걸 확인해 향후 달 표면 입자와 조성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누리에 탑재된 자기장측정기와 감마선분광기도 정상적으로 관측 데이터를 얻고 있다고 과기정통부는 전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배진솔다른기사
'디자인 인정' LG 투명 올레드 사이니지, '국무총리상' 수상
개인정보위 "尹정부서 개인정보법 위반 사업자 1천552억 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