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허울 뿐인 금융소비자 편의…편의점·공동 점포 시골엔 '달랑 1곳'

SBS Biz 박연신
입력2023.03.21 17:45
수정2023.03.21 18:31

[앵커] 

지난해 은행권의 디지털 혁신에 따른 점포 수 폐쇄가 늘자 금융당국이 금융 취약계층을 보호하기 위해 오프라인 금융접근성을 높이겠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성과가 대단히 지지부진해 취약계층 금융소외가 더 심해지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박연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해 출장소를 제외한 4대 시중은행의 폐쇄 점포수는 총 154곳, 지난 5년 간 570곳이 문을 닫았습니다. 

그만큼 소비자들의 금융서비스 접근성도 줄고 있습니다. 

[이영미 / 서울 효자동: 국민은행 효자동 지점이 없어져서 당장 입출금하는 데 어려워요. 당장 저희 같은 주부들은 현금을 보낸다거나 그럴 때 불편하죠. 저는 인터넷 뱅킹을 잘 사용을 안 해서 은행에 직접 가서 하거든요. 그런 점이 불편해요.]

지난해 6월 금융당국은 금융취약계층의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 은행과 편의점이 결합한 금융특화 점포와 은행 간 공동 점포 등을 활성화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금융당국이 편의점 점포와 공동점포라는 대안을 제시했지만 금융취약층의 접근성 개선에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제기됩니다. 

전국적으로 극소수에 불과할뿐더러 대부분 도시 지역에 위치해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4대 시중은행의 편의점 점포는 전국적으로 9곳에 불과합니다. 

특히 한 곳을 제외하고는 모두 도시에 문을 열었습니다. 

은행권 공동점포 역시 전국적으로 4곳에 불과하고, 이 역시 모두 도시에 있습니다. 

전국 2천400여 개 우체국에서 은행 업무를 볼 수 있게 하고 있지만 단순 입·출금 업무만 가능한 상황입니다. 

[윤영덕 / 더불어민주당 의원: 금융기관은 금융 소비자에 대한 서비스 정신도 필요합니다. 특히 모바일 활용, 교통 접근이 어려운 금융 취약계층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배려가 있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금융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지지부진하면서 금융취약계층이 외면받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SBS Biz 박연신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박연신다른기사
[단독] 금융당국, 전세대출 DSR 서울·지방 차등 적용 검토
[단독] '가계대출 비상' 금융위, 10일 시중은행 긴급 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