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69시간 논란 속…"60시간 가이드라인 아냐"

SBS Biz 최나리
입력2023.03.20 17:50
수정2023.03.20 19:07

[앵커] 

연장근로를 해도 주 60시간 이상은 무리라는 윤석열 대통령의 보완 지시가 전해진지 나흘 만에 또다시 방향이 뒤집혔습니다. 

대통령실은 이 발언이 가이드라인이 아니었다며 주당 최대 근로시간을 다시 60시간 이상으로 선회할 뜻을 내비쳤는데요.

최근 나온 조사 결과에는 주당 근로희망시간이 40시간이 채 안돼 정부 인식과는 거리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나리 기자, 대통령실에서 69시간제와 관련해 새로운 입장이 나왔죠? 

[기자] 

대통령실 한 고위관계자는 지난 16일 윤석열 대통령의 '주 60시간 이상은 무리'발표에 대해 "근로시간 개편 논의의 가이드라인을 주고자 하는 의도는 아니었다"고 밝혔습니다. 

"그렇게 일하는 것 자체가 힘들지 않겠냐는 개인적 생각"이라고 선을 그으며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겠다는 것으로 이해해달라"고 했습니다. 

수정된 개편안의 주 최대 근로시간이 "60시간이 아니고 더 이상이 나올 수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앵커] 

대통령 지적이 나온 뒤 고용부는 연일 의견 수렴 중이죠? 

[기자] 

윤 대통령은 오늘(20일) 수석비서관회의에서도 "임금 및 휴가 등 보상체계에 대한 불안이 없도록 확실한 담보책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는데요.

이정식 고용부 장관은 연차 활성화 우수 기업 간담회에서 "현재 우리나라 근로자는 평균 자기 연차의 76%를 쓰고 있다"며 정당한 연차 사용의 보장을 강조했습니다. 

[이정식 / 고용부 장관: '있는 연차도 다 못쓴다'는 것이 우리의 현실입니다. 여기에 이제 기업문화가 중요하고 근무 방식을 바꿔야 하는 이유가 있는 것입니다.]

근로시간 개편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연차 보장 등 제도나 관행의 보완장치를 마련하겠다는 것입니다. 

고용부는 오는 22일에도 MZ노조를 만날 예정이지만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근로자가 희망하는 근무시간은 주 36.7시간으로 정부 인식과는 거리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SBS Biz 최나리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최나리다른기사
영업점 찾아 한 시간…상상인저축 3곳만 남긴다
국내은행 해외점포 순익 34.3%↑…자산건전성은 악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