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주 69시간' 수습 나선 고용부…여·야 모두 질타

SBS Biz 우형준
입력2023.03.17 11:15
수정2023.03.17 12:02

[앵커] 

'주 최대 69시간' 근로 개편안 논란이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고 있습니다. 

어제(16일) 윤 대통령 주 60시간 이상은 무리라는 구체적인 시간을 못 박으면서 고용부가 사태 수습에 나섰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우형준 기자, 특히 청년 세대들 중심으로 반대가 거세고 있는데 고용부가 이틀째 수습에 나섰죠? 

[기자]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연일 청년 세대 등을 만나며 의견 수렴을 하고 있습니다. 

오늘(17일) 오전에는 고용부 정책기자단 발대식에 참석해 근로 시간 개편안과 관련한 목소리를 들었습니다. 

MZ 노조인 새로고침 노동자협의회와의 간담회에 이어 어제(16일) 오후엔 고용부 '2030 자문단'과 간담회를 갖기도 했는데요.

참석자 가운데는 "현재 포괄임금제가 널리 퍼져있는데 사장이 돈을 주겠냐"며 일을 하면 돈을 받는다는 원칙이 먼저"라고 하는 등 비판 의견이 많았습니다. 

이 장관은 이 자리에서 "청년 세대의 우려를 충분히 알고 있다"며 입법예고 기간인 만큼 의견을 듣고 보완 방안을 강구하겠다"라고 말했습니다. 

[앵커] 

근로 시간 개편이 이뤄지려면 결국 국회 문턱을 넘어야 하는데, 반대가 만만치 않다고요? 

[기자] 

국회 다수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철회를 주장하는데요.

박홍근 원내대표는 "대통령 말 한마디에 손바닥 뒤집듯 바뀌는 정부 정책을 국민이 신뢰할 수 있겠냐"라고 밝혔습니다. 

여당인 국민의 힘은 실제 따져보면 근로 시간이 주 69시간으로 딱 정해진 것이 아닌데, 고용부가 대국민 홍보를 잘못해 나쁜 프레임에 갇혀 논란을 자초했다고 지적하는데요.

대통령실도 고용부가 최대 주 69시간까지 연장근로가 가능할 수 있다는 걸 사전 보고 과정에서 명확히 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서 정책 혼선 지적을 피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SBS Biz 우형준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우형준다른기사
윤 대통령, 파나마 대통령 취임식에 '복싱 전설' 홍수환 특사 파견
대통령실, 김진표 회고록 논란에 "독대 이야기 멋대로 왜곡, 개탄스러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