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SBS Biz

中 '제로 코로나' 폐지에도 회복 더뎌…2월 소비자물가 1.0% ↑…생산자물가 1.4% ↓

SBS Biz 윤지혜
입력2023.03.09 11:23
수정2023.03.09 11:30

//img.biz.sbs.co.kr/upload/2023/03/09/nDj1678329001959-850.jpg 이미지
중국의 2월 소비자물가가 소폭 상승에 그쳐 '제로 코로나' 폐지에도 소비 회복이 더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1.0% 상승했으나 전월 대비로는 0.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9일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2월에 식품(2.6%), 비식품(0.6%), 소비재(1.2%), 서비스(0.6%) 가격이 1년 전보다 모두 올랐으나, 지난 1월과 비교해선 다소 내렸습니다.

지난 1월 22일 춘제가 지나 돼지고기 등 식품 소비 수요가 줄어든 반면 춘제 연휴 종료로 식품 공급이 정상화되었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리커창 중국 총리는 5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전국인민대표대회 제14기 1차 회의 개막식 업무보고에서 올해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 목표를 3% 안팎으로 제시했습니다.

아울러 2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동월 대비 1.4% 내렸으며, 전달과는 같았다고 국가통계국은 밝혔습니다.



이와는 달리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은 2월 CPI가 전년 동월 대비 1.8%, 전월 대비 0.3%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이날 보도했습니다. 2월 PPI는 전년 동월 대비 1.2%, 전월 대비 0.4% 내렸다고 전했습니다.

이는 차이신이 14개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에 바탕을 둔 것입니다.

중국 화촹증권의 장위 수석 애널리스트는 비식품 분야의 정제유 소매 가격은 기본적으로 안정적이지만 코로나19 감염이 잦아든 이후 서비스업이 수요를 회복하는 추세여서 물가 상승을 이끌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윤지혜다른기사
주주간 계약에 진퇴양난 SK온·SK에코플랜트…상장 못하면 모회사 직격탄
대명소노, 티웨이에 집중...에어프레미아 타이어뱅크 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