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SBS Biz

1인 창조기업 91.7만개 '2배 급증'…주 업종은 제조업

SBS Biz 최나리
입력2023.03.09 11:05
수정2023.03.09 12:00

//img.biz.sbs.co.kr/upload/2022/08/26/kDJ1661478717124-850.jpg 이미지
2020년말 기준 1인 창조기업 수는 91.7만 개로 전년 대비 2배 이상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022년 1인 창조기업 실태조사' 결과 발표를 통해 2020년 기준 1인 창조기업 수가 전자상거래 등 사업장 없는 사업체가 조사대상에 포함됨에 따라 전년(45.8만 개)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총 91만7천365개로 집계됐다고 오늘(9일) 밝혔습니다.

1인 창조기업은 창의성과 전문성을 갖춘 1인 또는 5인 미만의 공동사업자로서 상시근로자 없이 사업을 영위하는 자입니다. 부동산업, 도·소매업, 숙박업, 음식점·주점업, 광업, 수도업, 운수업, 금융·보험업 등 32개 업종은 제외됩니다. 

중기부가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 ㈜메트릭스에 의뢰해 5천개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1인 창조기업의 주 업종은 ‘제조업’(28.4%), ‘교육서비스업’(17.2%), ‘전자상거래업’(16.4%) 순,창업동기는 ‘적성·능력 발휘’(59.7%)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역별로는 경기 27.2%(249,623개), 서울 24.7%(226,622개), 부산 6.2%(56,507개), 경남 6.0%(55,019개), 인천 5.2%(47,713개)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도권이 57.1% (523,958개), 비수도권이 42.9%(393,407개)를 차지했습니다.

대표자 평균 연령은 약 50.7세였습니다. 성별은 남성이 71.5%, 여성이 28.5%로 조사되었으며, 2021년 기준 기업당 평균 매출액은 298백만원, 당기순이익은 61백만원으로 나타났습니다.

평균 업력은 약 12년이며, 기업형태는 1인 창조기업 특성상 법인기업(12.8%) 보다 개인사업체(87.2%)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주요 거래처로는 ‘개인 소비자(BtoC)’가 63.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다음으로 ‘기업체(BtoB)’ 33.2%, ‘정부·공공기관(BtoG)’ 3.1% 순입니다.

또 창업 후 첫 매출 발생기간은 평균 2.6개월, 손익분기점 도달기간은 평균 15.3개월로 나타났습니다.

1인 창조기업 창업 동기는 ‘적성과 능력 발휘’(59.7%), ‘고소득 창출’(21.3%), ‘정책영향’(9.5%), ‘생계유지’(7.8%) 순으로 높았으며, 창업 준비기간은 평균 10.8개월로 조사됐습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최나리다른기사
웰컴금융, 아동·청소년에 'PC 나눔'… "디지털 학습환경 개선"
소상공인 은행 공약 러시…'제4인뱅' 인가 탄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