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여야, '정보 유출' LGU+ 질타…"해지 위약금 면제해야"

SBS Biz 신채연
입력2023.02.09 18:56
수정2023.02.10 10:39


여야가 오늘(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고객 개인정보 유출 사태를 빚은 LG유플러스를 질타했습니다. 



과방위 소속 여야 의원들은 LG유플러스의 개인정보 보안 시스템 허점을 비판했습니다. 

SK텔레콤, KT와 비교해 정보보호 예산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과 피해 고객들이 계약 해지를 원할 경우 위약금을 받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습니다. 

장경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9만 명의 개인정보 유출은 초대형 사고인데 아직 원인조차 제대로 규명이 되지 않았다"며 "당초 18만 명의 정보가 유출됐다고 했다가 나중에 11만 명을 추가했다. 3주 가까이 그 사실을 몰랐단 말이냐"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피해 고객이) 계약을 해지하려고 해도 위약금 때문에 불가능하다고 한다"며 "(계약 해지의) 귀책사유는 LG유플러스에 있는 것 아니냐"고 따졌습니다. 



김영주 의원도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향해 "피해 고객들이 위약금 없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도해야 한다"고 가세했습니다. 

이인영 의원은 "2018년에 일어난 개인정보 유출을 해커가 통보해주니 사후에 알았다는 게 말이나 되느냐"며 "해커가 통보 없이 해당 정보를 유포했다면 범죄로 확산했을 것"이라고 꼬집었습니다. 

박찬대 의원은 "현재 유출된 개인정보의 양과 항목의 심각성에 비해 LG유플러스의 인식이 안일한 것 같다"며 "LG유플러스는 심 스와핑 가능성은 없다면서도 고객의 유심 교체를 요구를 들어주는 이유는 뭐냐"고 물었습니다. 

'심 스와핑'(SIM Swapping)이란 타인의 휴대전화 유심칩을 복제해 개인정보나 가상화폐를 빼돌리는 신종 해킹 수법입니다. 

국민의힘은 개인정보 유출 사태와 더불어 최근 발생한 유선망 접속 장애도 지적했습니다. 

윤두현 의원은 "지금 디도스 공격과 관련해 파악된 게 있느냐. 조사 중이라는 것은 제대로 파악된 게 없다는 것"이라며 "개인정보위원회와 협조해서 원인 파악과 대책 마련, 피해 보상을 잘해야 한다"고 주문했습니다. 

이번 정보 유출 사태는 LG유플러스가 중국 업체인 화웨이 장비를 대거 사용한 데 따른 것이라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홍석준 의원은 "SK텔레콤과 KT는 제가 알기론 화웨이 장비를 쓰지 않는데 유독 LG유플러스만 많이 쓰고 있다"며 "LG유플러스에서만 해킹 문제가 나오는 것은 이와 관계가 많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앞서 미국에서 LG유플러스 장비 구매를 두고 재검토 요구를 한 것으로 안다"며 "그런데도 화웨이 장비를 쓰는 이유가 뭐냐"고 따졌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신채연다른기사
에루샤에 프라다까지…소비자 아랑곳 또 '인상'
오리온, 지난해 영업이익 5천억 돌파…매출도 첫 '3조 클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