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회복세 꺾인 외식업 경기…"인플레로 소비 줄어"

SBS Biz 전서인
입력2023.01.26 08:27
수정2023.01.26 08:32

소비심리 위축에 외식업 경기 회복세가 5개 분기 만에 꺾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2022 4분기 외식산업 경기동향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지수는 82.54로 전 분기보다 7.30포인트 내렸습니다. 

이로써 2021년 3분기 이후 4개 분기 연속 이어지던 회복세가 5개 분기 만에 꺾였습니다. 

이 수치는 2021년 3분기 65.72, 4분기 70.34, 지난해 1분기 70.84에 이어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2분기에는 85.56으로 급등했고 3분기(89.84) 소폭 더 올랐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4분기 하락세로 돌아섰습니 다. 하락 폭은 코로나 발생 초기인 2020년 1분기(-11.68포인트) 이후 11개 분기 만에 가장 컸습니다. 

aT는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지속하고 이로 인한 금리 인상 및 경기 침체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소비 심리가 위축된 것이 하락의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업종별로 보면 치킨 전문점업이 75.63으로 가장 낮고 중국 음식점업(76.08), 김밥 및 기타 간이음식점업(79.19), 피자·햄버거·샌드위치 및 유사 음식점업(81.80), 한식 음식점업(82.10) 등은 평균치를 밑돌았습니다. 

올해 1분기의 외식업 경기 흐름을 예상하는 경기전망지수도 85.76으로 전 분기 대비 9.22포인트 급락했습니다. 이 수치는 지난해 4분기부터 2개 분기 연속 내렸습니다.

식재료 원가지수는 2021년 1분기부터 지난해 3분기까지 7개 분기 연속 상승하고 매 분기 최고치를 경신했다가 지난해 4분기 145.01로 전 분기 대비 0.88포인트 내렸습니다.

이 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식재료의 원가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100을 넘으면 원가가 올랐다는 의미입니다. 

aT는 "식재료 원가지수 상승세가 한풀 꺾인 모습을 보인 점은 다소 긍정적인 신호로 보이나 여전히 높은 지수를 나타내 외식업주에게는 코로나로 인한 피해가 가시기 전에 또 한 번의 위기가 찾아오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식재료 가격 상승으로 주요 외식 제품 가격도 덩달아 올랐습니다. 

한국소비자원 가격 정보 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기준 냉면 가격은 평균 1만577원으로 1년 전보다 8.7% 올랐고 자장면(6천569원)은 13.8%, 김밥(3천100원)은 11.9% 각각 상승했습니다.

지난해 4분기 외식업 고용지수는 95.85로 전 분기보다 0.39포인트 내렸다. 고용지수가 하락한 것은 2021년 3분기 이후 5개 분기 만에 하락했습니다.

이는 경기 침체로 인한 매출 감소와 지속되는 고물가에 따른 것으로 aT는 분석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전서인다른기사
이번 달부터 지역가입자 건보료 2만5천 원 줄어
롯데관광개발, 1월 카지노 순매출 238억…"최대 경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