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與 "가계부채 대책 작동 안 해…컨트롤타워 세워야"

SBS Biz 조슬기
입력2022.11.15 13:02
수정2022.11.15 15:25

[오늘(1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한 주호영 원내대표 (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이 정부의 가계부채 대책이 시장에서 작동하지 않고 있다며 다양한 민생안전대책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심도있게 관리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류성걸 경제안전특별위원장은 오늘(1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경제특위 2차 회의에서 "코로나19 이후 빠르게 늘어난 가계부채의 증가세가 최근 둔화되고 있지만 국내총생산 GDP 대비 105.5%로 주요국 평균인 65.3%를 넘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자리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류 위원장은 "특히 대출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차주의 채무 상황 부담이 가중되고 있고, 앞으로 또 금리가 오르게 되면 더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며 "국제 신용평가사들은 우리나라 국가 신용등급을 -AA로 유지하면서도 높은 수준의 부채가 상대적으로 위험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최승재 국민의힘 의원은 "정부가 내놓은 대책들이 있는데 이것이 현재 시장에 제대로 먹히지 않는 부분이 문제"라며 "새출발기금은 지난주 기준 신청자가 1만 명이 되지 않고 목표치가 5%에 불과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최 의원은 이어 "대출만기연장, 상환유예, 대환보증금 등 여러 대책을 내놨는데 한 번에 사용하려니 여러 혼란이 있는 듯하다"며 "누구는 신용회복이라고 하고 누구는 신용보증기금이라 하고 말들이 서로 엇갈린다. 정부 정책과 관련해 심도 있게 컨트롤타워가 필요하고 정책을 일괄 정리하는 부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대책 실패가 가계부채 문제로 연결됐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정부에서 집값이 오르면서 돈을 빌려 집을 사는 과정에서 가계부채가 늘어났다"며 "집값과 가계부채의 상관계가 상당히 높지 않느냐"고 말했습니다. 

윤 의원은 "지금 집값이 떨어지고 고금리로 가면서 다시 하우스푸어를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담보대출을 받은 분들의 경우 집값 하락이 부채 상황을 어렵게 만들고 신용불량으로 이어져 여파가 엄청나다. 집값과 부동산 정책을 가계부채 문제에 연결해 관리하지 않으면 상당히 위험하다"고 언급했습니다.

조은희 국민의힘 의원은 "대출 조차 받기 어려운 7등급 이하 취약 차주들이 금리 급등의 부담을 견디다 못해 불법 사채시장을 찾아 고리사채 늪에 빠지지 않을까 걱정된다"며 "이들에게 정책 금융을 통해 중저금리로 갈아타거나 채무 조정을 위한 기회를 주는 등 지원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류성걸 위원장은 이날 회의가 끝난 뒤 다음 회의가 예정된 11월 25일 가계부채와 서민금융 관련 사안을 다시 한 번 논의하고 관련 세부 사항에 대해 말씀드릴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조슬기다른기사
美 대선토론·PCE 앞두고 코스피 관망세…환율 1380원대
KB자산운용, ETF 브랜드 'RISE'로 전격 개편…"떠오르는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