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호 박사의 오늘 기업·사람] FTX·바이낸스·한국전력·비야디(BYD)·지리차·테슬라·트위터
SBS Biz 황인표
입력2022.11.14 06:59
수정2022.11.16 07:30
■ 경제와이드 모닝벨 '오늘 기업 오늘 사람' -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연구소장
◇ 비트코인 파산 도미노 'FTX·바이낸스'
유동성 위기에 빠진 세계 3대 가상자산거래소 FTX가 파산 위기에 직면하면서,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가격이 급락하고 업계 전반에 도미노 파산 위기감까지 불거지고 있습니다. 이 소식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박사님, 부채가 최대 66조 원이라는데, 세계 3대 거래소가 왜 갑자기 파산신청서를 제출하게 됐는지부터 짚어볼까요?
- 세계 3위 가상자산 거래소 FTX, 11일 파산신청 파장
- 부채 규모 최대 66조 원 육박…'코인판 리먼 사태'
- '코인계 버핏·JP모건' 30세 뱅크먼-프리드의 몰락
- FTX 위기 사태의 진원지, 알라메다 채무 100억 달러
- WSJ "FTX, 알라메다에 고객 자금 100억 달러 송금"
- 자오 창펑 "FTX 파산이 마지막 위기 아니다" 경고
- "코인시장 위기, 리먼 무너진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
- "더 많은 코인업체 무너진다…2~3주 내 현실로"
- "코인판 리먼 사태"…소프트뱅크·블랙록도 물렸다
- 한때 기업가치 320억 달러 FTX 순식간에 파산 신청
- 주요 투자자로 참여, 소프트뱅크·블랙록 등 직격탄
- 블룸버그 "소프트뱅크, FTX 투자 손실 1,300억 원 추산"
- 세콰이어 캐피털, FTX 투자금 2,800억 원 손실 처리
- '코인판 리먼 사태'…국내 FTX 이용자 최소 1만여 명
- "개인 투자자, 몽땅 날릴 수도"…가상자산 출금 중단
- 컴투스, FTX서 자체 가상자산 C2X 코인거래소공개
- 묶인 컴투스 가산자산 120억…"투자자 보호방안 찾겠다"
- FTX 파산신청, 韓에 설립된 기업도 파산보호에 포함
- 2018년 7월 설립된 블록체인 회사 한남그룹도 포함
- 나락으로 간 30살 코인 갑부, 뱅크먼-프리드의 민낯
- FTX 로고 티셔츠와 헐렁한 반바지가 트레이드마크
- 가상자산 거래소 FTX 설립 2년 만에 수십조 원 조달
- '코인계 워런 버핏' 평가…유능한 사업가로 부상
- 코인 규제 옹호…비호감 언행까지 업계 반감 자초
- 결국 최초 투자자이자 라이벌 바이낸스로부터 치명타
- 이미지·외연 확장에 치중…"너무 먼 곳까지 왔다"
- 1992년 캘리포니아 출생…부모 스탠퍼드 로스쿨 교수
- 매사추세츠공대 물리학 전공…트레이더로 4년 근무
◇ 적자 폭탄 '한국전력'
한국전력이 3분기에도 7조 5천억 원이 넘는 영업손실을 기록하면서 누적적자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전기판매량이 늘었지만 러시아- 우크라 전쟁 여파로 연료비가 크게 오른 것이 발목을 잡았는데요. 박사님, 이 속도면 연말에는 30조 원 적자 전망도 나오더라고요?
- 한전, 3분기 누적 '21조' 적자…올해 30조 넘기나
- 3분기에도 7.5조 원 적자…1~2분기에도 6~7조 원 적자
- 값싼 원전 줄이고 비싼 LNG 늘린 탓…인상은 외면
- 올해 30조 적자에도…한전, 구조개혁 없이 자구책만
- 팔면 팔수록 손해…'역마진 구조' 고착화 탓에 부진
- 부동산·회원권 매각 내놨지만 적자 해소 턱없이 부족
- 채권시장 경색…회사채 발행 통한 자금 조달 난망
- 전기요금 또 오른다, 이창양 장관 "인상 요인 형성"
- 전기요금=기본요금·전력량요금·기후환경요금 등 구성
- 산업부, 내년에 적용할 기준연료비 인상 방안 검토 중
- 벼랑 끝 한전, 회사채 무더기 발행…이달에만 1.5조 원
- 현금 마련 위해 발행한 한전채, 시장 교란 야기
- 한전법 개정안 통과 안 되면 곧 회사채 발행도 막혀
- 전기요금 인상 불가피…"탈원전 부작용 이제 시작"
- 해법은 요금 정상화지만…기재부는 물가 때문에 소극적
◇ 중국 전기차 상륙 '비야디(BYD)·지리차'
다음은 전기차 소식입니다. 중국의 전기차 기업들이 한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박사님, '중국판 테슬라'로 불리는 비야디가 한국법인을 확장하고 전기차 상표출원을 늘리고 있다고요?
- K-배터리 막더니…한국 전기차 시장 공략하는 중국
- 테슬라 따돌린 비야디, 볼보·폴스타 등 거느린 지리차
- 비야디, 한국법인 규모 확장…6개 전기차 상표출원
- 버스뿐 아니라 승용차까지…전기차 판매 라인업 강화
- 쌍용차·르노 코리아, 중국 완성차와 협력 강화 추세
- 비야디-쌍용차 파트너십…전기차 전용 플랫폼 개발
- 쌍용차, '비야디 인수설' 제기…끈끈한 관계 유지
- 토레스 기반의 전기차 'U100' 비야디의 배터리 탑재
- 르노 코리아, 중국 최대 민영 지리차그룹과 손잡아
- 지리오토모빌홀딩스, 르노코리아 지분 34.02% 인수
- 국내서 판매할 비야디 전기차엔 중국 배터리가 탑재
- BYD, 전기차 판매 1위이자 배터리 시장 점유율 3위
- 북미·유럽 이어 글로벌 3대 전기차·배터리 시장 中
- 국내 배터리 기업들, 중국에 생산설비 구축 추진
- 중국 1위 전기차업체 비야디, 워런 버핏 투자로 유명
- 중국 내수 판매 1위, 완성차 업체 지리자동차
- 냉장고 부품 팔다가 '벤츠·볼보' 삼킨 중국 지리차
- 리슈푸, 시골 출신 고졸…기발함·과감함으로 성공
- 지리차그룹, 스웨덴 볼보·전기차 폴스타 등 보유
◇ 전기차 미국 역수입 '테슬라·트위터'
비야디의 무서운 성장세에 긴장하는 테슬라 소식도 살펴보죠. 테슬라가 중국 공장에서 만든 전기차를 미국으로 역수입하는 방안을 추진한다는데, 왜 그런겁니까?
- 中 토종 차에 추격당하는 테슬라, 미국 역수입 추진?
- 전기차 역수입 관련 북미 규정 검토 중…로이터 보도
- 중국 창안차·지리차에 판매율 밀려…재고도 급증
- 중국서 생산한 모델Y·모델3, 이르면 내년 미국으로
- 테슬라 전기차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수요 둔화 탓
- 테슬라 논평 대신 기사 직후 머스크 트위터에 "거짓"
- 머스크의 첫 사내 연설…"트위터 내년 파산할 수도"
- "테슬라 주식 대량 매도, 트위터 구하기 위한 것" 주장
- 전 직원 대상 이메일로 '재택근무 중단' 공지도 보내
- "머스크, 사무실 안 나오면 사표의사 간주할 것"
- 유료 구독 '트위터 블루'…사칭 계정 쏟아지자 중단
- 회색 '공식 계정' 표시 도입했다가 철회하는 등 오락가락
- 기업·브랜드·유명인 사칭하는 계정들 실제로 나타나
- '머스크 리스크' 트위터…사칭 계정에 광고주 이탈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비트코인 파산 도미노 'FTX·바이낸스'
유동성 위기에 빠진 세계 3대 가상자산거래소 FTX가 파산 위기에 직면하면서,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가격이 급락하고 업계 전반에 도미노 파산 위기감까지 불거지고 있습니다. 이 소식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박사님, 부채가 최대 66조 원이라는데, 세계 3대 거래소가 왜 갑자기 파산신청서를 제출하게 됐는지부터 짚어볼까요?
- 세계 3위 가상자산 거래소 FTX, 11일 파산신청 파장
- 부채 규모 최대 66조 원 육박…'코인판 리먼 사태'
- '코인계 버핏·JP모건' 30세 뱅크먼-프리드의 몰락
- FTX 위기 사태의 진원지, 알라메다 채무 100억 달러
- WSJ "FTX, 알라메다에 고객 자금 100억 달러 송금"
- 자오 창펑 "FTX 파산이 마지막 위기 아니다" 경고
- "코인시장 위기, 리먼 무너진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
- "더 많은 코인업체 무너진다…2~3주 내 현실로"
- "코인판 리먼 사태"…소프트뱅크·블랙록도 물렸다
- 한때 기업가치 320억 달러 FTX 순식간에 파산 신청
- 주요 투자자로 참여, 소프트뱅크·블랙록 등 직격탄
- 블룸버그 "소프트뱅크, FTX 투자 손실 1,300억 원 추산"
- 세콰이어 캐피털, FTX 투자금 2,800억 원 손실 처리
- '코인판 리먼 사태'…국내 FTX 이용자 최소 1만여 명
- "개인 투자자, 몽땅 날릴 수도"…가상자산 출금 중단
- 컴투스, FTX서 자체 가상자산 C2X 코인거래소공개
- 묶인 컴투스 가산자산 120억…"투자자 보호방안 찾겠다"
- FTX 파산신청, 韓에 설립된 기업도 파산보호에 포함
- 2018년 7월 설립된 블록체인 회사 한남그룹도 포함
- 나락으로 간 30살 코인 갑부, 뱅크먼-프리드의 민낯
- FTX 로고 티셔츠와 헐렁한 반바지가 트레이드마크
- 가상자산 거래소 FTX 설립 2년 만에 수십조 원 조달
- '코인계 워런 버핏' 평가…유능한 사업가로 부상
- 코인 규제 옹호…비호감 언행까지 업계 반감 자초
- 결국 최초 투자자이자 라이벌 바이낸스로부터 치명타
- 이미지·외연 확장에 치중…"너무 먼 곳까지 왔다"
- 1992년 캘리포니아 출생…부모 스탠퍼드 로스쿨 교수
- 매사추세츠공대 물리학 전공…트레이더로 4년 근무
◇ 적자 폭탄 '한국전력'
한국전력이 3분기에도 7조 5천억 원이 넘는 영업손실을 기록하면서 누적적자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전기판매량이 늘었지만 러시아- 우크라 전쟁 여파로 연료비가 크게 오른 것이 발목을 잡았는데요. 박사님, 이 속도면 연말에는 30조 원 적자 전망도 나오더라고요?
- 한전, 3분기 누적 '21조' 적자…올해 30조 넘기나
- 3분기에도 7.5조 원 적자…1~2분기에도 6~7조 원 적자
- 값싼 원전 줄이고 비싼 LNG 늘린 탓…인상은 외면
- 올해 30조 적자에도…한전, 구조개혁 없이 자구책만
- 팔면 팔수록 손해…'역마진 구조' 고착화 탓에 부진
- 부동산·회원권 매각 내놨지만 적자 해소 턱없이 부족
- 채권시장 경색…회사채 발행 통한 자금 조달 난망
- 전기요금 또 오른다, 이창양 장관 "인상 요인 형성"
- 전기요금=기본요금·전력량요금·기후환경요금 등 구성
- 산업부, 내년에 적용할 기준연료비 인상 방안 검토 중
- 벼랑 끝 한전, 회사채 무더기 발행…이달에만 1.5조 원
- 현금 마련 위해 발행한 한전채, 시장 교란 야기
- 한전법 개정안 통과 안 되면 곧 회사채 발행도 막혀
- 전기요금 인상 불가피…"탈원전 부작용 이제 시작"
- 해법은 요금 정상화지만…기재부는 물가 때문에 소극적
◇ 중국 전기차 상륙 '비야디(BYD)·지리차'
다음은 전기차 소식입니다. 중국의 전기차 기업들이 한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박사님, '중국판 테슬라'로 불리는 비야디가 한국법인을 확장하고 전기차 상표출원을 늘리고 있다고요?
- K-배터리 막더니…한국 전기차 시장 공략하는 중국
- 테슬라 따돌린 비야디, 볼보·폴스타 등 거느린 지리차
- 비야디, 한국법인 규모 확장…6개 전기차 상표출원
- 버스뿐 아니라 승용차까지…전기차 판매 라인업 강화
- 쌍용차·르노 코리아, 중국 완성차와 협력 강화 추세
- 비야디-쌍용차 파트너십…전기차 전용 플랫폼 개발
- 쌍용차, '비야디 인수설' 제기…끈끈한 관계 유지
- 토레스 기반의 전기차 'U100' 비야디의 배터리 탑재
- 르노 코리아, 중국 최대 민영 지리차그룹과 손잡아
- 지리오토모빌홀딩스, 르노코리아 지분 34.02% 인수
- 국내서 판매할 비야디 전기차엔 중국 배터리가 탑재
- BYD, 전기차 판매 1위이자 배터리 시장 점유율 3위
- 북미·유럽 이어 글로벌 3대 전기차·배터리 시장 中
- 국내 배터리 기업들, 중국에 생산설비 구축 추진
- 중국 1위 전기차업체 비야디, 워런 버핏 투자로 유명
- 중국 내수 판매 1위, 완성차 업체 지리자동차
- 냉장고 부품 팔다가 '벤츠·볼보' 삼킨 중국 지리차
- 리슈푸, 시골 출신 고졸…기발함·과감함으로 성공
- 지리차그룹, 스웨덴 볼보·전기차 폴스타 등 보유
◇ 전기차 미국 역수입 '테슬라·트위터'
비야디의 무서운 성장세에 긴장하는 테슬라 소식도 살펴보죠. 테슬라가 중국 공장에서 만든 전기차를 미국으로 역수입하는 방안을 추진한다는데, 왜 그런겁니까?
- 中 토종 차에 추격당하는 테슬라, 미국 역수입 추진?
- 전기차 역수입 관련 북미 규정 검토 중…로이터 보도
- 중국 창안차·지리차에 판매율 밀려…재고도 급증
- 중국서 생산한 모델Y·모델3, 이르면 내년 미국으로
- 테슬라 전기차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수요 둔화 탓
- 테슬라 논평 대신 기사 직후 머스크 트위터에 "거짓"
- 머스크의 첫 사내 연설…"트위터 내년 파산할 수도"
- "테슬라 주식 대량 매도, 트위터 구하기 위한 것" 주장
- 전 직원 대상 이메일로 '재택근무 중단' 공지도 보내
- "머스크, 사무실 안 나오면 사표의사 간주할 것"
- 유료 구독 '트위터 블루'…사칭 계정 쏟아지자 중단
- 회색 '공식 계정' 표시 도입했다가 철회하는 등 오락가락
- 기업·브랜드·유명인 사칭하는 계정들 실제로 나타나
- '머스크 리스크' 트위터…사칭 계정에 광고주 이탈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단독] 삼성 이재용 독일行…파운드리 챙기기 '미워도 다시 한번'
- 2.보면 무조건 사…편의점에서 사라진 '불닭'
- 3."'어르신 운전중' 표지 붙였더니, 어떤 변화가?
- 4.알면서도 놀라는 지역건보료…대출 받아 집 사면 확 준다
- 5.사별 후 재혼하자 유족연금 딱 끊겼다
- 6.묵혀둔 은수저 어디있지?…실버바도 품귀
- 7.[단독] 허울뿐인 삼성 신인사제도…절대평가 대신 하위고과자 할당
- 8.함평 비트코인 황금박쥐…세금낭비에서 261억 돈벼락
- 9.유리기판 시장 치고 나가는 SK…뒤쫓는 삼성·LG
- 10.'일용직인데, 집에만'…건설현장 없으니 17만명 손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