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금융가 인사이드] 쏟아진 의혹들…BNK금융, '김지완 회장 리스크' 급부상

SBS Biz 김성훈
입력2022.10.26 14:07
수정2022.10.26 16:51

[앵커]

올해 국정감사에선 부산과 경남을 기반으로 한 BNK금융지주의 이름이 자주 거론됐습니다.

5년 넘게 금융지주를 이끌고 있는 김지완 회장과 관련된 각종 의혹들이 쏟아져 나왔기 때문인데요.

감독 당국은 검사에 들어갔고, 후임 회장 문제까지 논란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김성훈 기자와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국정감사에서 BNK금융과 관련해 어떤 의혹들이 불거졌나요?

[기자]

우선 김지완 회장 아들이 대체투자센터장으로 있는 증권사에 대한 채권 몰아주기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2019년 1,000억 원 규모에 불과했던 이 증권사의 BNK금융 계열사 채권이 올해 8월 1조 1,900억 원 규모까지 불어난 점이 근거로 제시됐는데요.

들어보시죠.

[강민국 / 국회의원 (지난 11일 국정감사) : 김지완 회장의 아들이 한양증권으로 이직한 시기부터 BNK 계열사 발행채권에 대해서 급증하고 있어요. 2017년, 18년에는 아예 한양증권에서 BNK채권하고 인수한 물량이 아예 없어요. 정상적으로 보입니까.]

[이복현 / 금융감독원장 (지난 11일 국정감사) : 조금 더 그 배경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위원님의 지적에 공감합니다.]

계열사 간 부당거래 의혹도 제기됐는데요.

김 회장 아들이 영업이사로 있던 P2P 대부업체와 관련된 펀드에 연체가 발생하자, BNK금융 계열사들이 부당 지원했다는 주장입니다.

[윤한홍 / 국회의원 (지난 11일 국정감사) : BNK금융에서 BNK캐피탈에 제3자한테 자금 우회 대출을 해줘서 그 자금을 가지고 BNK자산운용사에서 환매가 불가능한 펀드를 매수해서 처리를 한 사례가 있어요. 계열사 간 부당거래도 해당이 되고 간접대출을 해서….]

이와 관련해 이복현 금감원장은 "첩보를 접했다"며 이렇게 답했습니다.

들어보시죠.

[이복현 / 금융감독원장 (지난 11일 국정감사) : 법규 위반 내용이 될 수가 있어서 필요한 부분 저희 권한 범위 내에서 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앵커]

김 기자, 금감원에서 곧바로 진상 파악에 나섰다고요?

[기자]

금감원은 지난 18일부터 BNK금융지주와 계열사인 BNK캐피탈, BNK자산운용에 대한 현장검사에 들어갔습니다.

의혹들에 대한 진위 여부를 파악하고, 위법성 등을 따져보기 위해 나선 겁니다.

부산은행 노조도 성명서를 내고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이런 의혹들에 대해 BNK금융지주 측에 입장을 물었지만, 해명이나 별도의 입장을 밝히지 않았습니다.

[앵커]

앞서 제기된 각종 의혹들이 차기 회장 선임 문제로까지 번지고 있다고요?

[기자]

국감에선 BNK금융의 내부 출신 중심인 폐쇄적인 지배구조 또한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BNK금융의 내규의 경우 지주 회장은 연령 제한을 별도로 두지 않고, 대신 1회만 연임이 가능하도록 제한을 뒀습니다.

또 사회적 물의 발생 등 예외가 아닌 이상 지주 사내이사와 자회사 CEO 등 내부 출신만 회장 후보가 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견제와 자정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는데요.

금감원장은 "일반 시중은행의 지주사 임원 절차와는 차이가 있는 것 같다"며, 이 또한 살펴볼 뜻을 내비쳤습니다.

반면, 부산은행 노조는 "5년간 내부 출신들도 실력과 경륜을 갖췄고, 충분히 자생력이 생겼다"며 이런 지적에 대해선 반발하고 있습니다.

시민단체인 부산 경실련도 성명서를 통해 "의혹을 계기로 정치권이 낙하산 인사를 내려보내는 시도를 해선 안 된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김지완 회장 본인도 외부 인사라서 선임될 당시 논란이 많았던 인물이라면서요?

현재 추가 연임 가능성은 없는 건가요?

[기자]

올해 만 76세인 김 회장은 한 차례 연임을 했고, 내년 3월 임기가 끝날 예정입니다.

김 회장은 부산은행 출신의 전임 성세환 회장이 시세조종 혐의로 불명예 사임하면서, 외부에서 영입된 증권통 인사인데요.

하지만 말씀하신 대로 2017년 회장 선임 당시 각종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1946년생인 김 회장은 회장 선임 당시 만 71세였는데요.

만 70세로 연령 제한을 두고 있는 금융업계의 관례를 깼습니다.

또 전임 대통령들과의 인연 때문에 '낙하산' 꼬리표가 따라다녔습니다.

고령인 데다 내규까지 바꿔야하는 만큼, 김 회장의 추가 연임 가능성은 현재로선 낮은 상황입니다.

이 때문에 내규에 따라 안감찬 부산은행장과 이두호 BNK캐피탈 대표, 최홍영 경남은행장 등 계열사 대표 9명이 후보군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앵커]

각종 의혹과 논란뿐만 아니라 BNK부산은행의 부동산 PF 대출도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요?

[기자]

네, 부산은행 내부 관계자에 따르면, 투자은행으로 변화를 꾀해야 한다는 김 회장 주문에 따라 부산은행도 재작년부터 부동산PF에 드라이브를 걸었습니다.

1개 부서였던 투자금융 영업본부가 3개로 늘었고, 실적이 이들 부서의 성과평가에 반영되며 공격적인 대출이 이뤄졌습니다.

2019년 2조 8,000억 원 규모였던 부산은행의 부동산 PF 위험 노출액은 올 상반기 3조 8,000억 원 규모로, 1조 원 가까이 급증했습니다.

이 때문에 지난해 금감원으로부터 "PF 성장이 너무 빠르다"며 "보증서를 낀 우량한 구조로 바꿨으면 좋겠다"는 권고를 받았고요.

또 올해 초부터는 은행 내부에서도 "악화되는 경기 상황을 고려해 PF 대출에 제동을 걸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부산은행은 "금융지주가 전반적으로 증권과 캐피탈 등 계열사들의 부실 리스크 등을 집중적으로 살피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최근 금융시장에 부동산PF에 대한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는 만큼, 또 다른 리스크로 부상할지 주목됩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김성훈다른기사
부산은행, 부산시금고 재유치 기념 '연 4%' 적금 특판
새마을금고, 공제계약대출 금리 1%p 한시 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