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금리 올라도 실질금리는 2년째 마이너스…"물가가 더 올랐다"
SBS Biz 권준수
입력2022.10.19 12:52
수정2022.10.19 14:47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을 반영해 은행 예·적금 금리가 높아지고 있으나 물가 상승률에는 턱없이 못 미치기 때문입니다.
오늘(19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에 따르면 8월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금리(신규취급액 기준 가중평균 금리)는 연 2.98%로 나타났습니다.
저축성 수신금리는 지난 1월에만 해도 1.65%에 불과했지만, 2월 1.70%, 3월 1.74%, 4월 1.87%에 이어 5월(2.02%)에 2%대에 올라섰습니다.
이어 6월 2.41%, 7월 2.93%에 이어 8월에는 3%에 육박했습니다. 예금은행 저축성 수신금리는 정기 예·적금 금리로 실질금리를 구할 때 사용하는 대표적 명목금리 중 하나입니다.
이런 저축성 수신금리 상승은 지난해 8월부터 시작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때문입니다.
문제는 물가 상승률인데 지난 8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말보다 4.4% 상승했습니다. 이에 따라 8월 기준 저축성 수신금리(2.98%)에서 물가 상승률(4.4%)을 뺀 실질금리는 -1.42%로 집계됐습니다.
은행에 예·적금을 새로 들었다면 물가 상승분만큼도 이자를 받지 못해 실질적으로 손해를 봤다는 의미입니다.
물가 상승률이 당분간 5%대 고공비행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저축성 수신금리가 상당폭 오르더라도 올해 연간으로 실질금리는 마이너스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됩니다.
실질금리는 사상 처음으로 2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것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내 계좌가 보이스피싱에?..."사전 차단 하세요" [2025 금감원]
- 2.추석 땐 최장 10일 쉰다?…비행기표 끊으려다 '화들짝'
- 3.'17억 갑자기 생겼다'…50% 성과급에 로또까지 누구일까?
- 4.보면 무조건 사…편의점에서 사라진 '불닭'
- 5."'어르신 운전중' 표지 붙였더니, 어떤 변화가?
- 6.성과급 1500% 전국민 부러워한 이 회사, 자사주 30주 더 준다
- 7.美 배당주로 노후준비 미당족 '날벼락'…분노 커지자 결국
- 8.입주 앞두고 이런 날벼락…GS건설 '열쇠 못 준다 왜?'
- 9.'월세가 만원 한장 실화냐?'...여기선 실화야
- 10.국민연금 얼마내고 얼마 받나…모수개혁 뭐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