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은행앱도 먹통"…5년간 발생한 전자금융사고만 400회 넘어

SBS Biz 우형준
입력2022.10.19 07:24
수정2022.10.20 10:55

최근 카카오톡 서비스 중단으로 전국적인 혼란이 발생한 가운데 은행권에서도 지난 5년 반 동안 전자금융사고가 빈번히 발생해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양정숙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7월까지 국내 시중은행, 특수은행, 인터넷 은행 등 총 13개 은행에서 발생한 전자금융사고는 총 421회에 달했습니다.

이 가운데 시중은행에서 발생한 전자금융사고는 247회로 전체의 58.6%를 차지해 인터넷뱅크 105회, 특수은행 69회에 비해 매우 높았습니다.

시중은행 중에서는 우리은행의 전자금융사고가 72회로 최다였고 신한은행(44회), SC제일은행(43회), 하나은행(34회), 국민은행(31회), 씨티은행(23회) 순이었습니다.

인터넷 은행에서는 카카오뱅크가 52회로 전자금융사고가 가장 많았고 케이뱅크(37회), 토스(16회)가 뒤를 이었습니다.

특수은행은 산업은행의 전자금융사고가 32회로 전체의 46.3%를 차지했고 NH농협은행은 15건이었습니다.

은행권의 연도별 전자금융사고 건수는 2017년 68회에서 2018년 107회로 증가했다가 2019년 54회로 줄었지만 2020년 67회, 지난해 76회, 올해는 7월까지 49회로 다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전자금융사고의 유형은 프로그램 오류, 시스템·설비 장애, 외부 요인, 인적 재해, 정보기술(IT) 사고 등으로 대부분 프로그램 오류와 시스템 문제가 큰 편입니다.

우리銀 전자금융사고 72회로 최다·피해 복구 최장 33일 걸려


전체 전자금융사고 421회 중 복구되기까지 걸린 시간이 24시간 이내인 경우는 393회로 전체의 93.3%였습니다.

하지만 24시간 이상이 지난 전자금융사고도 28회나 됐습니다. 이 가운데 20회가 시중은행에서 발생했으며 개별 은행으로는 우리은행이 12회로 전체의 60%를 차지했습니다.

이 가운데 10일 이상 지속된 전자금융사고는 6회나 됐습니다. 우리은행이 2회, 국민은행과 하나은행, 수협은행, 카카오뱅크가 각각 1회였습니다.

우리은행은 2018년 정보 유출 사고로 인한 '인터넷뱅킹 대량 부정 접속 발생' 사고의 경우 복구에만 33일이 걸려 최장 시간을 기록했습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전산사고 72건중 약 60%가 2018년 차세대 시스템 도입 당시 발생했다"며 "은행 시스템 전체를 바꾸는 과정에서 발생한 특수성을 감안하면 타행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하나은행도 2017년 프로그램 오류로 '금리 감면 누락 발생' 사고가 생기면서 복구에 27일이나 소요됐습니다.

2018년에는 KT 아현지사 화재로 하나은행과 농협은행이 장애 복구에 각각 하루씩 걸리기도 했습니다.

2020년 카카오뱅크에서 외부 요인으로 발생한 '후불 교통카드 기능 불가' 사고도 복구에 16일이 걸렸습니다.

지난 6월에는 수협은행에서 프로그램 오류로 '지급이자 과소 계산' 사고가 발생해 복구에 12일이 소요되는 등 그동안 은행권의 전자금융사고는 적지 않은 금융 소비자의 불편을 야기했습니다.

양정숙 의원은 "은행이 멈추면 우리나라 경제시스템이 셧다운 된다"면서 "은행의 전자금융사고가 이렇게 빈번히 발생하면 국민이 불안해 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양 의원은 "은행 사고가 매년 이어지고 원상 복구에 최장 한 달 넘게 걸리는 동안 국민 불편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라면서 "국민이 입었을 피해에 대한 보상과 확실한 재발 방지 대책이 수립되도록 금융당국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우형준다른기사
윤 대통령, 스페인 기습폭우 희생자 애도…"조속한 복구 기원"
김성욱 기재부 전 대변인, 국제통화기금(IMF) 이사 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