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5세 입학' 과거 국책연구소 설문서도 10명 중 7명은 '반대'
SBS Biz 김성훈
입력2022.08.02 08:11
수정2022.08.02 08:37
오늘(2일) 교육계에 따르면, 한국교육개발원(KEDI)은 지난 2006년과 2007년 두 차례에 걸쳐 '미래사회에 대비한 학제개편 방안' 보고서를 내놨습니다.
현행 초·중·고교 학제의 문제점과 다양한 학제개편 시나리오 등을 분석하고, 교육전문가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대규모 설문조사도 진행했습니다.
이 가운데 2차연도 보고서를 살펴보면, 연구진은 외부 업체에 위탁해 2007년 7월 28일∼9월 28일 일대일 면접 방식의 설문조사를 벌였습니다.
대학생 1200명과 30∼60대 성인(학부모) 1550명이 조사 대상이었습니다.
'아동의 발달속도가 빨라진 만큼 입학연령을 만 5세로 낮춘다'는 문항에 모든 연령대별·거주지역별·유형별로 반대 의견이 62∼73%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자녀가 학제개편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은 젊은 층에서 반대 의견이 많았는데, 20대의 73%, 30대의 67.2%가 5세 취학에 반대해 50대(62.4%)나 60대(63.4%)보다 반대 비율이 높았습니다.
거주지별로는 서울은 응답자의 72.2%, 수도권은 72.6%가 반대 의견을 밝혀 중소도시(68.6%)나 읍면지역(62.8%)보다 반대 의견 비율이 높았습니다.
초·중·고·대학교 교원과 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1차연도(2006년도) 연구 설문조사에서도 취학연령을 현행처럼 6세로 유지(선별적 조기취학 허용)하는 것에 응답자(1696명)의 89%가 찬성했습니다.
반면 취학연령을 5세로 낮추는 것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1207명)의 72.9%가 반대했습니다.
연구진은 "5세 취학학령제 도입에 있어 아동 발달과 경제적 비용 이상으로 중요한 것이 국민적 공감대의 형성과 이해관계집단의 호응 또는 반발"이라며 "학제개편 같이 사회적 파급효과가 큰 경우 국민적 공감대 형성이 우선시 되지 않고서는 성공을 장담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연구진은 또 연차적으로 5세 입학 아동을 분산시키더라도 이 기간에 입학하는 자녀를 둔 학부모의 경우, 제도가 도입되지 않았다면 피할 수 있는 경쟁을 자녀들이 겪게 돼 반발이 예상된다고 지적했습니다.
경제적·사회적 비용도 만만치 않습니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경우 교육내용을 어떻게 정할 것인지 전문가 의견이 엇갈리고, 신·구 교육과정이 몇 년간 두 연령대(5∼6세)에 동시에 적용되면 수업은 물론 고입·대입에서도 혼란을 피할 수 없습니다.
재수생이 늘고 청년실업률이 높아져 사회적 문제로 대두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2008학년도부터 4년간 연차적으로 입학연령을 1살 당길 경우 이 아이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하는 2022년까지 교원 증원에만 1조4284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연구진은 추산했습니다.
연구진은 "5세 아동들에게 우선 필요한 것은 유치원 교육의 확대이지 초등학교 조기입학이 아니다"라며 "(5세 취학은) 효과에 비해 비용이 과다하고 5세 아동이 초등학교에 입학해 잘 적응할 것인가에 대한 증거가 불충분하므로 보류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금값 끝없이 오르는데…쳐다도 안보는 한국은행, 왜?
- 2.[단독] 네이버, 가품 논란에 '초강수'…1년 정산금 안 준다
- 3.[단독] '짝퉁 패딩' 또 나왔다…네이버·지그재그·에이블리·W컨셉 등 판매
- 4.삼양 '불닭 천하' 흔들리나…트럼프 '매운맛' 예고
- 5.'17억 갑자기 생겼다'…50% 성과급에 로또까지 누구일까?
- 6.전기차 이러다 방전될라...차값 깎아주다 결국은
- 7.돌반지 지금 팔까요? 말까요?…금값 최고라는데
- 8.당첨되면 최소 3억 번다…세종에 57만명 몰렸다
- 9.1만원대 5G 20기가 요금제 곧 나온다
- 10.中 전기차, 한국 입성 일주일 만에 1천 대 계약 돌파…직접 타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