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30대 이하 청년 다중채무액 158조 원 넘어

SBS Biz 윤지혜
입력2022.07.31 13:27
수정2022.07.31 20:45

지난해부터 이어진 가상화폐나 주식 투자 열풍 등으로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은 30대 이하 청년층의 다중채무액이 약 5년 전보다 30%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금융연구원 신용상 선임연구위원은 '국내 금융권 다중채무자 현황 및 리스크 관리 방안' 보고서를 통해 "금융권 다중채무자와 이들의 1인당 채무액 규모가 급증하면서 잠재 부실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보고서를 보면, 지난 4월 말 기준 금융권 전체의 다중채무자는 451만 명, 채무액 규모는 598조 8천억 원 수준으로, 2017년 말보다 각각 34만 4천 명(8.3%), 108조 8천억 원(22.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대별 다중채무액을 보면 30대 이하 청년층이 32.9%, 39조 2천억 원 증가한 158조 1천억 원이었고, 40∼50대 중년층은 16.2%, 51조 2천억 원 늘어난 368조 2천억 원, 60대 이상 노년층은 32.8%, 18조 원 증가한 72조 6천억 원이었습니다.

전체 다중채무액에서 중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61.5%로 가장 높지만, 증가 속도는 청년층과 노년층이 중년층의 두 배 이상 빨랐다는 게 분석 내용입니다.

다중채무자 1인당 금융권 채무액은 2017년 말 1억 1천800만 원에서 1억 3천300만 원으로 12.8%(1천500만 원) 증가했는데, 청년층은 1억 1천400만 원으로 29.4% 늘어났으며 중년층도 1억 4천300만 원으로 10.4% 증가했습니다. 노년층은 10.3% 감소한 1억 3천만 원으로 조사됐습니다.

또 대출금리 수준이 높은 제2금융권에서 청년층과 노년층 다중채무자와 채무액 증가 속도도 빠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저축은행권에서의 청년층 다중채무자 수는 10.6% 증가한 50만 3천 명, 채무액은 71.1% 늘어난 11조 1천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노년층은 96.6% 증가한 9만 5천 명, 78.1% 늘어난 2조 1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윤지혜다른기사
[현장연결] 몸값 낮춘 전기차·하이브리드 대세…정의선 깜짝 부산 방문
[현장연결] 내일 부산모빌리티쇼 개막…몸값 낮춘 신차로 재충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