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위챗 쓰면 내 개인정보 中 정보활동에 쓰일 수도"
SBS Biz 오수영
입력2022.07.18 14:28
수정2022.07.18 15:23
호주와 미국 합작 디지털 보안 업체 '인터넷 2.0'가 오늘(18일) 보고서를 통해 틱톡과 위챗으로 수집된 개인정보가 중국의 정보 활동이나 사이버 해킹 등에 활용될 위험성이 있음을 경고했다고 호주 일간 디오스트레일리안 등 언론이 보도했습니다.
보고서는 틱톡이 애플리케이션 작동에 필수적이지 않은 개인정보를 10억명 넘는 전 세계 이용자들에게서 무차별 수집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틱톡이 스마트폰 이용자의 시간별 위치나 일정, 주소록은 물론 다른 앱의 이용 상황까지 파악할 수 있는데, 이런 기능은 틱톡 앱 자체와 무관하다는 점에서 '정보 수집' 목적이라는 분석입니다.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6월 틱톡과 위챗의 미국 내 사용을 금지했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행정명령을 폐기하고 미 상무부가 후속 조치로 틱톡을 제재 목록에서 제외한 이후, 미국과 호주의 합작 회사가 이같은 내용의 보고서를 내놓아 주목되고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호주 정부에 이미 전달됐으며, 미 상원 청문회에도 오늘 제출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금값 끝없이 오르는데…쳐다도 안보는 한국은행, 왜?
- 2.[단독] 네이버, 가품 논란에 '초강수'…1년 정산금 안 준다
- 3.[단독] '짝퉁 패딩' 또 나왔다…네이버·지그재그·에이블리·W컨셉 등 판매
- 4.삼양 '불닭 천하' 흔들리나…트럼프 '매운맛' 예고
- 5.돌반지 지금 팔까요? 말까요?…금값 최고라는데
- 6.전기차 이러다 방전될라...차값 깎아주다 결국은
- 7.'17억 갑자기 생겼다'…50% 성과급에 로또까지 누구일까?
- 8.당첨되면 최소 3억 번다…세종에 57만명 몰렸다
- 9.1만원대 5G 20기가 요금제 곧 나온다
- 10.연휴 때 먹은 삼겹살·김치, 원산지 조사하니 '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