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바이든, 의회에 유류세 3개월 면제 요구…"석유회사, 자사주 매입보다 정제 늘려야" [장가희 기자의 뉴스픽]

SBS Biz 장가희
입력2022.06.23 05:55
수정2022.06.24 07:47

[앵커] 

앵커가 콕 짚어 전하는 뉴스, 뉴스픽입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연방 유류세를 앞으로 3개월간 한시적으로 면제하는 법안 승인을 의회에 요청했습니다. 

연방 유류세는 휘발유의 경우 갤런당 우리 돈 약 230원, 경유는 320원가량 붙는데요. 

이를 면제하기 위해선 의회의 동의가 필요합니다. 

[조 바이든 / 미국 대통령 : 우리는 기름값을 낮춰 각 가정에 약간의 안도감을 줄 수 있습니다. 모든 고통을 줄여주지는 않지만 큰 도움이 될 겁니다. 저는 저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의회와 주, 그리고 산업계도 그들의 역할을 하길 원합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연방 유류세보다 더 높은 세율이 부과되는 주 유류세도 일시적으로 면제해줄 것을 촉구했는데요. 

유류세 면제분이 그대로 가격에 반영될 경우, 약 3.6%의 인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또 석유회사들에 대한 압박도 이어갔는데요. 

수익을 자사주 매입에 쓰기보다, 정제 능력을 키우는 데 사용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이번 발표는 오는 11월 중간 선거를 앞두고 지지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는 분석인데요. 

인플레이션 책임론 속에 바이든 대통령의 지지율은 역대 최저인 39%까지 떨어진 상태입니다. 

한시적인 유류세 면제가 효과가 있을지는 의문이라는 분석이 많은데요. 

당장 공화당에서는 바이든 대통령이 오히려 석유 생산을 제한하고 있다면서 정치적 미봉책이라고 날을 세우고 있습니다. 

또 석유 업체들의 배만 불려줄 것이란 비관론도 커지고 있고요. 

유류세가 적게 걷히면 도로 인프라 건설 사업에 지원할 예산이 부족해진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여기에 환경 단체들은 기름값을 낮추면 소비가 늘어나 결과적으로 바이든 행정부가 내세운 기후 변화 대책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차라리 높은 가격이 수요를 낮추도록 시장에 맡겨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인플레이션 딜레마에 빠진 바이든 대통령이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지금까지 뉴스픽이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장가희다른기사
1조 달러 클럽 탈락한 아마존 "더 떨어지네"…채용도 중단 [장가희 기자의 뉴스픽]
파월 "이르면 12월 인상 늦출수도…최종금리 갈 길 멀어" [장가희 기자의 뉴스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