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 '물가 폭탄' 되나?…물가 '정점' 폭염 '역대급'
SBS Biz 김정연
입력2022.06.17 17:47
수정2022.06.17 18:38
[앵커]
다음 주에 전기요금 인상이 결정됩니다.
언제 얼마나 올릴지가 관심사입니다.
미룰수록 한국전력 적자 부담이 커진다는 게 산업부 입장이라 시기가 앞당겨질 가능성도 적지 않습니다.
문제는 요금 인상 시점이 물가 정점과 폭염에 맞물릴 가능성이 큰데 소비자가 체감하는 부담이 훨씬 커질 수 있습니다.
이유가 뭔지 김정연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기자]
지난해 7월 평년보다 극심한 더위로 전력 수요량은 전년보다 1만 메가와트 이상 늘었습니다.
최근 5년 간 전력 수요를 살펴봤더니 기온이 높을수록 늘었습니다.
기상청은 올여름 30년 만의 폭염을 예고했고 코로나 거리두기가 풀린 첫 휴가철이어서 전력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큽니다.
[이원주 / 산업통상자원부 전력혁신정책관 : 최근 경제 회복 상황 진행됨에 따라서 전력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 어느 때보다도 여름철 전력 수급 관리가 더 중요해지는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전은 다음 달 전기요금 인상안과 함께 전기요금 인상폭 법정 한도를 더 늘려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수요가 폭증하면 발전 비용이 급격히 늘어나는 구조상 예고된 인상폭보다 발전비용이 올라갈 가능성도 적지 않습니다.
[정범진 /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 : 전력 수요가 적으면 싼 발전기로만 쭉 전력 공급을 하는데, 많아지면 비싼 발전기까지 가동을 하게 되거든요. 전력의 공급 단가가 비싸져요. 이번 여름은 한전이 더 어려워질 것 같습니다.]
정부는 3분기를 물가 상승의 정점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요금 인상에 따른 체감부담이 높아질 수 있는 대목입니다.
전기요금 인상 여부와 인상 폭은 오는 20일 확정될 예정입니다.
SBS Biz 김정연입니다.
다음 주에 전기요금 인상이 결정됩니다.
언제 얼마나 올릴지가 관심사입니다.
미룰수록 한국전력 적자 부담이 커진다는 게 산업부 입장이라 시기가 앞당겨질 가능성도 적지 않습니다.
문제는 요금 인상 시점이 물가 정점과 폭염에 맞물릴 가능성이 큰데 소비자가 체감하는 부담이 훨씬 커질 수 있습니다.
이유가 뭔지 김정연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기자]
지난해 7월 평년보다 극심한 더위로 전력 수요량은 전년보다 1만 메가와트 이상 늘었습니다.
최근 5년 간 전력 수요를 살펴봤더니 기온이 높을수록 늘었습니다.
기상청은 올여름 30년 만의 폭염을 예고했고 코로나 거리두기가 풀린 첫 휴가철이어서 전력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큽니다.
[이원주 / 산업통상자원부 전력혁신정책관 : 최근 경제 회복 상황 진행됨에 따라서 전력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 어느 때보다도 여름철 전력 수급 관리가 더 중요해지는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전은 다음 달 전기요금 인상안과 함께 전기요금 인상폭 법정 한도를 더 늘려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수요가 폭증하면 발전 비용이 급격히 늘어나는 구조상 예고된 인상폭보다 발전비용이 올라갈 가능성도 적지 않습니다.
[정범진 /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 : 전력 수요가 적으면 싼 발전기로만 쭉 전력 공급을 하는데, 많아지면 비싼 발전기까지 가동을 하게 되거든요. 전력의 공급 단가가 비싸져요. 이번 여름은 한전이 더 어려워질 것 같습니다.]
정부는 3분기를 물가 상승의 정점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요금 인상에 따른 체감부담이 높아질 수 있는 대목입니다.
전기요금 인상 여부와 인상 폭은 오는 20일 확정될 예정입니다.
SBS Biz 김정연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집이 효자네'…실버타운 가도 연금 받고, 월세도 받는다?
- 2.'2900원 짜장면에 삼각김밥 덤'…한끼 식사 거뜬, 어디야?
- 3.[단독] 네이버, 가품 논란에 '초강수'…1년 정산금 안 준다
- 4.월급 300만원 직장인, 국민연금 1440만원 더 받는 비결은?
- 5.'애들 키우고, 빚 갚다보니'…빈곤 내몰린 노인들
- 6.'작년 137만명, 어쩔 수 없이 짐 쌌다'…남일 아니네
- 7.대학 합격했다고 좋아했는데…이 소식에 부모님 '한숨'
- 8.'1억? 우리는 1억에 4천 더'…저출산 영끌 대책 내놓은 이곳
- 9.'밥 짓는 대신 급하면 햇반 돌립니다'…결국은
- 10.병드는 2030…암보다 무서운 '이것' 빨간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