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C+, 추가 증산 합의에도 유가↑…미-사우디 관계 개선되나
SBS Biz 장가희
입력2022.06.03 06:18
수정2022.06.03 06:24
[앵커]
미국의 압박에도 산유량을 크게 늘리지 않았던 OPEC+가 다음달 증산 속도를 대폭 높이기로 합의했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 2년간 앙숙이었던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우호적 관계가 복원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데요.
이 소식, 장가희 기자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주요 산유국들이 드디어 원유를 추가 증산하기로 했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석유수출국기구인 OPEC과 러시아를 포함한 비 OPEC 주요 산유국의 협의체인 OPEC+가 현지시간 2일 정례회의를 열고, 다음달부터 8월까지 하루 생산량을 64만8천 배럴 늘리는데 합의했습니다.
이번에 합의한 증산량은 기존 방침보다 50% 가량 많은 양입니다.
전달 증산량은 43만2천 배럴이었습니다.
이번 합의에 따라 OPEC+ 회원국 중 증산 여력이 있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 쿠웨이트 등의 원유 생산이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OPEC+ 회원국들은 미국을 비롯한 서방국들의 추가 증산 요구를 들어주지 않았잖아요?
[기자]
맞습니다.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금지하거나 추진하고 있는 서방국들이 산유국들에 지속적으로 추가 증산을 압박해왔는데요.
열쇠를 쥔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중동 국가들이 그동안 미국과 지정학적, 정치적 충돌을 이유로 유가가 배럴당 120달러에 육박하는 상황에서도 요구를 들어주지 않았고요.
러시아와의 끈끈한 관계를 과시하며 서방을 애태웠습니다.
사실, 이번 결정은 러시아도 동의한 것으로 유럽의 러시아산 원유수입 금지로 인한 감소분을 메울 정도는 아닌데요.
소폭이긴 하지만, 추가 증산이 합의를 이뤘잖아요.
전문가들은 사우디의 변화가 2년간 얼어붙은 미국과의 관계를 녹일 수 있는 신호라고 분석했습니다.
미국은 OPEC+의 증산 결정을 반기면서 사우디아라비아가 주도하는 산유국들이 이번 합의를 위해 역할을 한 것을 알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말씀하신 것처럼 사우디아라비아는 세계 최대 산유국중 하나인데, 우크라이나 전쟁을 등에 업고 다시 영향력을 확대하는 모양새네요.
[기자]
네, 사우디아라비아는 미국에 이어 일일 원유 생산량 2위 국가인데요.
카슈끄지 살해사건 이후 고립됐다가 유가 급등으로 서방의 적극적인 구애를 받고 있습니다.
지난 2018년 10월 사우디 반체제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가 터키 이스탄불의 사우디 영사관에서 살해됐는데요.
바이든 대통령은 집권 전부터 배후로 사우디 실권자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를 지목했고, 트럼프 전 대통령 시절 미국의 특급 대우를 받던 그와 거리를 뒀습니다.
사우디의 예맨 내전 개입과 이란의 핵합의 등으로도 부딪혔고요.
하지만, 미국을 덮친 인플레이션에 직면한 바이든 대통령은 사우디아라비아와 관계회복을 통한 유가 안정이 다급해졌고, 11월 중간선거 전에 물가를 잡기위해 사우디의 협조가 불가피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현지시간 1일 로이터통신은 바이든 대통령이 아랍 산유국의 협력기구인 걸프협력회의(GCC)정상회의에 참석하는 안을 검토중인데요.
여기서 빈살만 왕세자와 회동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앵커]
OPEC+의 결정으로 국제 유가는 좀 진정됐나요?
[기자]
오늘(3일) 국제유가는 올랐습니다.
앞서 파이낸셜타임스가 사우디아라비아가 생산을 늘릴 수 있다고 서방 동맹국에 언급했다고 보도하면서 유가가 장중 3% 이상 하락하며 배럴당 111달러 선까지 하락했는데, 미국의 여름 휘발유 수요 성수기를 맞아 원유 재고가 예상보다 많이 줄면서 유가는 다시 오름세로 돌아섰습니다.
[앵커]
장가희 기자, 잘 들었습니다.
미국의 압박에도 산유량을 크게 늘리지 않았던 OPEC+가 다음달 증산 속도를 대폭 높이기로 합의했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 2년간 앙숙이었던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우호적 관계가 복원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데요.
이 소식, 장가희 기자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주요 산유국들이 드디어 원유를 추가 증산하기로 했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석유수출국기구인 OPEC과 러시아를 포함한 비 OPEC 주요 산유국의 협의체인 OPEC+가 현지시간 2일 정례회의를 열고, 다음달부터 8월까지 하루 생산량을 64만8천 배럴 늘리는데 합의했습니다.
이번에 합의한 증산량은 기존 방침보다 50% 가량 많은 양입니다.
전달 증산량은 43만2천 배럴이었습니다.
이번 합의에 따라 OPEC+ 회원국 중 증산 여력이 있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 쿠웨이트 등의 원유 생산이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OPEC+ 회원국들은 미국을 비롯한 서방국들의 추가 증산 요구를 들어주지 않았잖아요?
[기자]
맞습니다.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금지하거나 추진하고 있는 서방국들이 산유국들에 지속적으로 추가 증산을 압박해왔는데요.
열쇠를 쥔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중동 국가들이 그동안 미국과 지정학적, 정치적 충돌을 이유로 유가가 배럴당 120달러에 육박하는 상황에서도 요구를 들어주지 않았고요.
러시아와의 끈끈한 관계를 과시하며 서방을 애태웠습니다.
사실, 이번 결정은 러시아도 동의한 것으로 유럽의 러시아산 원유수입 금지로 인한 감소분을 메울 정도는 아닌데요.
소폭이긴 하지만, 추가 증산이 합의를 이뤘잖아요.
전문가들은 사우디의 변화가 2년간 얼어붙은 미국과의 관계를 녹일 수 있는 신호라고 분석했습니다.
미국은 OPEC+의 증산 결정을 반기면서 사우디아라비아가 주도하는 산유국들이 이번 합의를 위해 역할을 한 것을 알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말씀하신 것처럼 사우디아라비아는 세계 최대 산유국중 하나인데, 우크라이나 전쟁을 등에 업고 다시 영향력을 확대하는 모양새네요.
[기자]
네, 사우디아라비아는 미국에 이어 일일 원유 생산량 2위 국가인데요.
카슈끄지 살해사건 이후 고립됐다가 유가 급등으로 서방의 적극적인 구애를 받고 있습니다.
지난 2018년 10월 사우디 반체제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가 터키 이스탄불의 사우디 영사관에서 살해됐는데요.
바이든 대통령은 집권 전부터 배후로 사우디 실권자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를 지목했고, 트럼프 전 대통령 시절 미국의 특급 대우를 받던 그와 거리를 뒀습니다.
사우디의 예맨 내전 개입과 이란의 핵합의 등으로도 부딪혔고요.
하지만, 미국을 덮친 인플레이션에 직면한 바이든 대통령은 사우디아라비아와 관계회복을 통한 유가 안정이 다급해졌고, 11월 중간선거 전에 물가를 잡기위해 사우디의 협조가 불가피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현지시간 1일 로이터통신은 바이든 대통령이 아랍 산유국의 협력기구인 걸프협력회의(GCC)정상회의에 참석하는 안을 검토중인데요.
여기서 빈살만 왕세자와 회동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앵커]
OPEC+의 결정으로 국제 유가는 좀 진정됐나요?
[기자]
오늘(3일) 국제유가는 올랐습니다.
앞서 파이낸셜타임스가 사우디아라비아가 생산을 늘릴 수 있다고 서방 동맹국에 언급했다고 보도하면서 유가가 장중 3% 이상 하락하며 배럴당 111달러 선까지 하락했는데, 미국의 여름 휘발유 수요 성수기를 맞아 원유 재고가 예상보다 많이 줄면서 유가는 다시 오름세로 돌아섰습니다.
[앵커]
장가희 기자, 잘 들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