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여의도 저승사자 타깃 1호는 루나?

SBS Biz 윤지혜
입력2022.05.19 11:19
수정2022.05.19 11:57

[앵커] 

검찰의 금융·증권범죄 합동 수사단이 루나·테라 코인 사태를 수사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또, 루나 폭락 사태를 촉발한 권도형 테라폼랩스 최고경영자(CEO) 측은 지난해 수백억 원의 세금을 추징당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이런 가운데 국내에서 가상자산을 1억 원 이상 보유한 사람이 10만 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윤지혜 기자, 서울남부지검 금융·증권범죄 합동수사단이 공식 출범했는데 루나 사태가 1호 사건이 될 수도 있다고요? 

[기자] 

네, 검찰 안팎에선 1호 사건으로, 최근 20만 명 넘게 손실을 본 한국산 가상자산 루나·테라 급락 사태가 거론되고 있습니다. 

앞서 손실 투자자를 대리하는 법무법인 측은 권도형 테라폼랩스 대표를 사기 혐의로 고소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는데요. 

이런 가운데 국세청이 지난해 권 대표와 테라폼랩스에 대해 수백억 원대의 세금을 추징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특별 세무조사 결과, 해외 조세 회피처를 통해 가상자산 발행 관련 일부 수입과 증여 신고를 누락해 세금 탈루 혐의를 찾아낸 것입니다. 

[앵커] 

이렇게 루나 사태가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을 뒤흔들고 있는데, 국내 가상자산 투자자 규모는 커졌죠? 

[기자] 

네, 금융정보분석원 조사 결과, 지난해 말 기준 국내에서 가상자산을 1억 원 이상 보유한 이용자는 10만 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00만 원 이상 가상자산 보유자는 82만 명이었고, 70% 이상이 100만 원 이하였습니다. 

가상자산 보유는 남성이 374만 명으로 여성 184만 명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는데요. 

주목할 점은 20대 이하 가상자산 보유자가 전체의 24%인 134만 명에 달한 점입니다. 

50대와 60대 이상도 각각 80만 명과 23만 명이었습니다. 

금융당국은 최근 루나 사태를 계기로 디지털자산기본법 제정에 속도를 내고 위험성이 있는 가상화폐들에 대한 동향을 집중적으로 점검하고 있습니다. 

SBS Biz 윤지혜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윤지혜다른기사
전기차·휴대폰…일상 침투한 '리튬 배터리' 안전 주의보
전기차·휴대폰…일상에 침투한 '리튬 배터리' 안전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