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맷 데이먼·르브론…가상화폐 홍보 슈퍼스타들 도마에

SBS Biz 임종윤
입력2022.05.18 18:23
수정2022.05.18 18:41

[홍콩의 비트코인 및 가상화폐 광고 전광판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한국산 가상화폐 루나와 자매 코인 테라USD(UST) 폭락 사태로 세계 가상화폐 가격이 급락하고 피해자가 속출하면서 가상화폐 홍보에 앞장선 미국 유명 스타들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맷 데이먼, 귀네스 펠트로, 르브론 제임스 등 할리우드와 스포츠계 슈퍼스타들이 가상화폐의 위험성은 언급하지 않은 채 팬들의 투자를 유도하고서 이제는 침묵하고 있다고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17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작년부터 스타를 이용한 가상화폐 홍보전은 이상 열기 수준으로 뜨겁게 달아올랐었스니다.

이들 스타는 소셜미디어나 언론 인터뷰, 뮤직비디오 등 다양한 수단으로 가상화폐가 '힙한' 문화나 어떤 철학이 있는 것처럼 홍보했다고 NYT는 지적했습니다.

미식축구리그(NFL) 결승전 슈퍼볼은 30초 광고 단가가 700만달러(약 89억원)에 이르는 미국 최대 스포츠 행사인데, 올해 슈퍼볼은 가상화폐 광고들이 몰리면서 '크립토(가상화폐) 볼'로 불릴 정도였습니다.



맷 데이먼은 지난해 가상화폐 거래소 크립토닷컴 광고에서 가상화폐를 비행기나 우주비행의 개발로 비유하며 띄웠고 미국프로농구(NBA) 유명 선수 조엘 엠비드는 최근 이 회사 광고에 출연했고, NBA LA 레이커스의 슈퍼스타 르브론 제임스는 올해 이 회사 슈퍼볼 광고에 나왔습니다.

배우 리즈 위더스푼은 지난해 12월 온라인상에서 "가상화폐가 우리 생활의 일부가 됐다"고 말했고, 귀네스 펠트로는 지난해 비트코인 경품에 자신의 이름을 빌려주기도 했습니다.

미국프로풋볼(NFL)의 '전설' 톰 브래디, 테니스 스타 오사카 나오미, 패리스 힐튼 등도 가상화폐 홍보에 동참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가격 폭락 속에 이들 유명인이 팬들에게 위험성에 대한 경고 없이 가상화폐 투자를 부추기는 데 일조했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고 NYT는 전했습니다.

스타들이 광고하는 의류나 식품 등 일반 상품과 달리 가상화폐 시장은 변동성이 크고 사기 행위도 많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들은 가격 폭락 이후 입장을 묻는 질문에 말을 아끼고 있습니다.

NYT는 이번 사태는 유명인을 동원한 마케팅의 오류를 보여준다고 지적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임종윤다른기사
中당국 중룽 회계장부 조사…'그림자 금융' 위기 본격 대응 신호
中 8월 제조업 PMI 49.7…5개월 연속 경기수축 국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