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SBS Biz

中 베이징, 2천만명 PCR 검사…시진핑 “성장률 美 제쳐야”

SBS Biz 장가희
입력2022.04.27 06:19
수정2022.04.27 07:52

오늘(27일) 뉴욕증시가 급락한 배경에는 중국 베이징의 코로나19 상황도 있습니다. 전체 주민의 90%에 달하는 2천만 명을 대상으로 PCR 검사를 실시한다는 소식에 상하이와 같은 봉쇄 조치가 임박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요.경제 충격을 우려한 시진핑 국가주석은 올해 성장률 목표를 반드시 사수해, 미국을 앞질러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소식, 장가희 기자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베이징 시민 대부분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게 됐다고요? 
그렇습니다. 



코로나19 감염자가 계속 나오면서 베이징시 차오양구 지역은 아예 임시 관리통제구역으로 지정이 됐고요.

차오양구 주민 350만 명에 한정됐던 PCR 검사는 11개 구 주민들에게까지 확대됐습니다. 

대상자만 2천만 명입니다. 

베이징시 당국은 기업들에게 직원들의 재택근무를 장려하고, 공연이나 스포츠 행사, 무역박람회 등 대규모 행사는 중단시켰습니다. 



식당, 영화관, 노래방 운영도 잠정 폐쇄됐고요.

그동안 중국 정부 발표상 한자릿수에 머물렀던 일일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 24일 19명, 25일에는 33명으로 늘었습니다. 

사실, 우리 기준으로 보면 수치가 높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데요.

중국은 위드 코로나가 아닌 제로 코로나 정책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겁니다. 

어제(26일) 베이징 시민들이 식료품 사재기에 나서고 있다고 전해드렸데요, 당국이 대형마트 영업시간을 늘리고 유통, 배송업체에 공급차질이 없도록 대비하라는 지시를 내려 사재기 분위기는 조금 사그라들었다고 합니다. 

베이싱시의 불안은 경제 수도라 불리는 상하이 봉쇄 경험이 크게 작용하고 있는데요.

인구 2천500만 명이 거주하는 상하이에서는 지난달 중순부터 부분 봉쇄를 시작했고, 5주째 전체 도시에 대한 봉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상하이에 이어서 수도 베이징까지 도시가 봉쇄되면, 경기 둔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는데 어떤 분석이 나오나요? 
이미 월요일에 상하이 종합지수가 5.13% 폭락했고, 어제 1.44% 하락해서 2886.43으로 밀려나며 2900선까지 내줬습니다. 

이 때문에 인민은행은 25일 밤 외화 지준율을 인하하겠다고 발표하며 직접적인 시장 개입에 나선데 이어 어제, 코로나19로 충격을 받은 산업과 중소기업, 자영업자를 지원하겠다며 금융 시스템은 코로나19가 경제사회 발전에 끼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대한 줄이겠다고 밝혔습니다. 

중국은 올해 경제성장 목표를 5.5% 안팎으로 잡았지만, 1분기 성장률은 4.8%에 그쳤는데요.

상하이 봉쇄 여파에 베이징까지 봉쇄가 확대된다면, 2분기 실적은 더 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미 IMF는 올해 중국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4.8%에서 4.4%로 내렸고요. 노무라증권은 3.9%까지 내다봤습니다. 

이건, 단순히 중국 내 문제가 아니기도 한데요.

세계 최대 컨테이너항인 상하이가 제기능을 못하니까 국제 물류 혼란이 가중되고 있고, 공급망 혼란으로 물가 상승이 더 가팔라질 수 있습니다. 

이처럼 어려운 시기에 집권연장을 시도하는 시진핑 주석이 미국 성장률을 앞질러야 한다는 특별 지시를 했다는 보도가 나왔죠. 

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시 주석은 최근 경제 금융 관료들을 만나 이같이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시 주석은 미국이 정치, 경제적으로 쇠퇴하고 있고, 서방의 자유민주주의보다 중국의 일당제가 뛰어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선 경제를 안정적으로 성장시켜야 한다는 취지의 말을 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시 주석이 경제성장을 강조하며 미국을 지목한 건, 지난해 4분기 성적 때문으로 보이는데요.

지난해 4분기 미국 GDP 성장률은 5.5%로 4%인 중국보다 높았고요.

당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년 만에 미국 성장률이 중국을 제쳤다며 각별한 의미를 부여하기도 했습니다. 

장기집권을 정당화하기 위해 경제분야에서 성공을 최대한 부각하려는 시 주석으로서는 위기를 느낄 수 있는 대목입니다. 

또, 시 주석은 어제 인프라 건설 강화를 위한 전면적인 노력을 촉구했는데요.

도시 봉쇄 여파가 경제에 타격을 미치는 상황에서 부양을 촉진하기 위한 수단의 일환으로 풀이됩니다. 

다만, 중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을 폐기하지 않는 한 올해 목표치인 5%대 성장률 달성은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많습니다. 

네 장 기자 잘 들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장가희다른기사
1조 달러 클럽 탈락한 아마존 "더 떨어지네"…채용도 중단 [장가희 기자의 뉴스픽]
파월 "이르면 12월 인상 늦출수도…최종금리 갈 길 멀어" [장가희 기자의 뉴스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