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전쟁 위기…국제유가 급등에 관련주 강세
SBS Biz
입력2022.02.15 08:07
수정2022.02.15 08:40

■ 경제와이드 이슈& '기업이슈' - 장연재
◇ 천연가스, 유가 관련주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정학적 리스크가 불거지자 국제유가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지난 11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3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3.6% 상승해 배럴당 93.10달러로 마감했습니다.
이 영향으로 정유, 석유, 천연가스 관련주가 상승했습니다.
◇ 비철금속 관련주
구리, 알루미늄 등 글로벌 원자재 대란 우려에 비철금속 관련주도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는 현재 전 세계 주요 상품 거래소의 구리 재고는 40만 톤을 약간 웃도는 수준으로, 이는 전 세계가 일주일 미만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분량이라고 보도했습니다.
한편 알루미늄 재고도 낮아 알루미늄 3개월 선물의 가격은 톤당 3,200달러를 넘어서 13년 만에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
◇ 방위산업 관련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무력충돌 우려에 방산주도 상승 마감했습니다.
앞서 미국 정부는 동계올림픽 기간 중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CNN에 출연해 "지금 당장이라도 러시아의 대규모 군사 행동이 시작될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 원자력 관련주
정부가 국내에 건설 및 운영 중인 원자력 발전소 28개에 대한 예비해체계획서에 승인하는 등 탈원전에 속도를 내기로 했습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 11일 제153회 원자력안전위원회를 열고 ‘건설 또는 운영 중인 발전용 원자로 및 관계시설 예비해체계획서 검토’를 포함해 4건의 안건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는데요.
이 소식에 원자력 관련주에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 천연가스, 유가 관련주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정학적 리스크가 불거지자 국제유가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지난 11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3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3.6% 상승해 배럴당 93.10달러로 마감했습니다.
이 영향으로 정유, 석유, 천연가스 관련주가 상승했습니다.
◇ 비철금속 관련주
구리, 알루미늄 등 글로벌 원자재 대란 우려에 비철금속 관련주도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는 현재 전 세계 주요 상품 거래소의 구리 재고는 40만 톤을 약간 웃도는 수준으로, 이는 전 세계가 일주일 미만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분량이라고 보도했습니다.
한편 알루미늄 재고도 낮아 알루미늄 3개월 선물의 가격은 톤당 3,200달러를 넘어서 13년 만에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
◇ 방위산업 관련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무력충돌 우려에 방산주도 상승 마감했습니다.
앞서 미국 정부는 동계올림픽 기간 중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CNN에 출연해 "지금 당장이라도 러시아의 대규모 군사 행동이 시작될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 원자력 관련주
정부가 국내에 건설 및 운영 중인 원자력 발전소 28개에 대한 예비해체계획서에 승인하는 등 탈원전에 속도를 내기로 했습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 11일 제153회 원자력안전위원회를 열고 ‘건설 또는 운영 중인 발전용 원자로 및 관계시설 예비해체계획서 검토’를 포함해 4건의 안건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는데요.
이 소식에 원자력 관련주에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단독] 이재명, 당선되면 3일 뒤 청와대 간다 [대선 2025]
- 2.한 때 국민고시였던 '이 자격증'…'개업은 커녕 폐업 걱정'
- 3.[단독] 삼성전기, 주 52시간 관리 논란…고용부 조사 검토
- 4.5월 초 황금연휴 없다…"2일 출근하세요"
- 5.'백발 아빠는 일하고 청년 아들은 백수'…이유 물어보니
- 6.국민연금 때문에 땅치고 후회?…31만명 건보료 유탄
- 7."쌀 때 사두자"…은행들 한 달 새 4조 쓸어 담은 '이것'
- 8.[단독] 이재명, 부동산 '우클릭'..기본주택·국토보유세 설계자 빠졌다 [대선 2025]
- 9.HLB ·브릿지 줄줄이 고배…신약개발 '빨간불'
- 10.SK 달래기 통했나?…한미반도체, 기업설명회 돌연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