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다음달 확진자 3만명 이상될 수도…오미크론 대응 전국확대는 설 이후”

SBS Biz 임종윤
입력2022.01.25 09:40
수정2022.01.25 09:42



국내에서도 우세종으로 자리 잡은 코로나19 오미크론의 확산세가 본격화하는 가운데 정부는 다음 달 확진자가 최대 3만명 이상에 달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오늘(25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에서 "오미크론이 앞으로 2∼3주 혹은 2월 내에 점유율이 90% 이상인 지배종으로 갈 것"이라며 "확산 속도가 델타보다 2∼3배 빠르기 때문에 확진자 증가는 불가피하고, 다음달 하루 2만∼3만명이나 그 이상도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답했습니다.

손 반장은 오는 3월에 하루 20만명까지도 나올 수 있다는 일각의 예측과 관련해선 "시뮬레이션의 변수를 어떻게 넣느냐에 따라 다양한 결과값이 나오기 때문에 앞으로 오미크론이 지배종으로 전환되는 한 달 동안 최대한 완만하고 부드럽게 넘기는 것이 관건"이라며 "하루 2만∼3만명 정도가 될지, 10만∼20만명이 될지에 따라 우리 의료체계가 구할 수 있는 환자와 사망자 수가 달라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손 반장은 "오미크론이 이미 우세화한 4개 지역에 대해 내일부터 대응체계를 전환하며, 전국적으로는 설이 지난 이후 정도 시점에 전환할 것으로 논의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우선 적용지역을 제외한 다른 지역은 지금부터 대응체계로 전환할 경우 일반 확진자의 발견이 느려진다는 단점이 있다"며 "현재 하루 80만건의 PCR 검사 여력 중 50만건 정도만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아직 검사에는 여유가 있는 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손 반장은 "신속항원검사나 자가검사키트의 양성 판정 정확도가 PCR 검사보다는 다소 떨어지지만, 음성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 정확도가 있다"며 "이에 따라 음성이 나오면 음성으로 인정하고, 양성이 나올 때만 PCR 검사로 다시 한번 진단해본다는 개념"이라고 부연했습니다.

그는 동네 병·의원의 코로나19 환자 진단·치료 문제와 관련해선 "체계적인 준비를 통해 순차적으로 확대해나갈 예정"이라며 "의료기관 내 감염관리를 위해 환자들의 출입구나 대기실을 분리할 수 있는 병원이 있을 수 있고, 시간대별로 아예 인원을 다르게 받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임종윤다른기사
中당국 중룽 회계장부 조사…'그림자 금융' 위기 본격 대응 신호
中 8월 제조업 PMI 49.7…5개월 연속 경기수축 국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