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 “청년보다 중장년이 불공정 더 느껴…20대는 분배 불만”
SBS Biz 김완진
입력2022.01.23 09:49
수정2022.01.23 20:32

한국 사회의 모든 영역이 불공정하다는 인식은 청년층보다 중장년층에 더 넓게 퍼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제 영역이 공정하다는 인식은 다른 세대보다 20대에서 두드러졌다.
오늘(23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김석호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장의 '한국 청년의 삶, 마음, 꿈' 보고서에서 전체 응답자의 21.8%가 한국 사회의 공정성에 대해 모든 영역이 불공정하다는 '전반적 부정 평가' 집단에 속했습니다.
이 연구는 국책연구기관인 한국행정연구원이 만 19세 이상 69세 이하 성인 8천명을 대상으로 한 사회통합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해 공정성 인식 유형을 5개로 나눴습니다. 모든 영역이 불공정하다고 느끼는 '전반적 부정 평가'와 그 반대인 '전반적 긍정 평가','교육 공정성', '시장 공정성', '분배 공정성' 등입니다.
연령별로 보면 40대에서 '전반적 부정 평가' 집단이 차지하는 비중이 23.8%로 가장 높았고, 이어 50대(22.8%), 60대(20.7%) 순이었습니다. 20대(19.1%)와 30대(19.4%)에서는 20%를 밑돌아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연령별 공정성 인식 유형 비율 / 출처 :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
20대의 경우 교육과 복지는 불공정하지만, 경제와 정치, 계층 이동의 기회 등이 공정하다고 느끼는 '시장 공정성' 집단이 16.6%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두드러졌습니다.
30대에서 '시장 공정성' 집단이 차지하는 비율은 2.4%에 그쳤고, 40대(5.0%)와 50대(8.7%)는 10%에 미치지 못했다. 60대는 11.1%가 이 집단에 속했습니다. 반면 20대에서 교육과 복지, 계층 이동의 기회 등이 공정하다고 느끼는 '분배 공정성' 집단의 비중은 6.4%로 전 연령대 중 가장 작았습니다.
연령이 공정성 인식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연령이 높아질수록 '전반적 긍정 평가' 집단에 속할 확률은 급격히 낮아지고, '전반적 부정 평가'에 속할 확률은 높아졌다고 보고서는 설명했습니다.
김석호 소장은 "공정성이 무너졌다고 인식하는 사회에서는 열심히 일할 의욕이 실종되고 상대적 박탈감이 만연해 진보와 혁신의 동력이 멈추게 된다"며 "사회 이동성 향상을 위해 유년기부터 노년기에 이르는 단계에 따른 생애 주기별 개입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단독] 롯데리아 새우버거 패티서 항생제 검출…"전량 폐기"
- 2.국민연금 657만원 내고, 1억 수령?…진짜였다
- 3.'이 회사도 억대 연봉?'…이래서 대기업 가라는구나
- 4.맥주·라면·우유 미리 사두세요…내일부터 가격 오릅니다
- 5.연금 657만원 내고, 1억 수령 '진짜'…2030 부글부글
- 6."돌반지 안 팔길 잘했네"…치솟는 금값 더 오른다
- 7."평생 빚만 갚으며 살 것 같다"…1인당 빚 1억 육박
- 8.플렉스 끝났다…의류·여가 소비 '뚝'
- 9.'비닐만 벗긴 갤럭시, 최대 64만원 싸게 사세요'
- 10.'지브리 프사 만들어줘'…챗 GPT에 '우르르', 저작권 침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