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숫자로 본 경제] 0.1%p…돈 보따리에 뒤따를 ‘진격의 이자’

SBS Biz 김완진
입력2022.01.21 17:53
수정2022.01.21 21:38

정부가 뿌리는 돈이 대체 어디서 오나 싶은 분들도 계실 텐데요.

결론부터 얘기하면 돈을 빌리는 겁니다.

어떻게 빌리냐 국채를 찍어냅니다.

이번 추경 재원은 14조 원인데 73%가량인 11조3천억 원을 적자 국채로 즉, 빚을 내서 마련하는 겁니다.

여기서 눈여겨봐야 할 부분은 주택담보대출 금리 등 시중 금리가 더 올라갈 수 있다는 겁니다.

시중금리는 한국은행이 정하는 기준금리 영향을 받는 게 기본이지만 국채 물량과도 맞물려 있습니다.

국채를 찾는 수요는 그대론데 물량이 늘면 가격은 내려가겠죠.

그런데 국채 가격이 내려가면 수익률, 즉 금리는 올라갑니다.

예컨대, 금리가 5%인 채권 100만 원어치를 샀다면 만기 때 105만 원을 받겠죠. 그런데, 이 채권의 인기가 떨어지면서 가격이 95만 원으로 내려갔다면 수익률은 10.5%로, 표면 금리의 2배가 넘어가는 겁니다.

이미 채권시장에선 이런 시나리오가 대출금리의 지표가 되는 국고채 금리에 녹아들고 있습니다.

채권업계에서는 적자 국채 발행이 1조 원 늘면 시중금리는 0.01%P 올라가는 것으로 봅니다.

따라서 이번 국채 발행으로는 0.1%P 넘게 금리가 높아질 수 있는 거죠. 정부도 긴장하면서 나름의 전략을 세우고 있습니다.

더 걷힌 세금이 있지 않나 싶은 분들도 계실 텐데 맞습니다.

10조 원 넘게 더 걷었죠.

다만 오는 4월에 지난해 회계연도 결산을 거쳐야 쓸 수 있어서 이번에 빚을 낼 수밖에 없는 겁니다.

또, 이게 과연 이번 적자 국채를 나중에 갚는 데 쓰일지도 사실 미지수입니다.

심지어 유력 후보인 두 명 모두 자영업자 지원을 늘리겠다고 외치는 만큼, 대선 직후인 5월에도 추경을 할 가능성이 큰데 규모가 적어도, 30조 원을 넘길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금리를 밀어 올릴 요인이 아직 더 남았다는 얘기입니다.

숫자로 본 경제였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김완진다른기사
조건달린 상여도 통상임금…"추가 인건비 7조"
마이크론 우울 전망에 K-메모리 먹구름…中 첨단 D램 공세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