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튀 논란에 류영준 대표 내정자 사퇴…정용진 “멸공 그만”
SBS Biz 이광호
입력2022.01.11 06:08
수정2022.01.11 07:24
[앵커]
어제 코스피는 1% 가까이 떨어져 2900선대 초반으로 내려왔습니다.
지수 자체가 떨어진 데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유독 시선을 끈 회사가 있었는데 신세계와 카카오입니다.
모두 인물 리스크를 짊어진 뒤 신뢰 회복에 나서는 중인데, 효과가 있을지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광호 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
신세계부터 짚죠.
정용진 부회장의 '멸공' 논란이 계속됐네요?
[기자]
네, 정 부회장이 의도했든 안 했든 '멸공' 단어 자체에 반중국 정서가 깔려 있어, 주력 회사인 신세계는 물론이고 중국에서 화장품 사업을 하는 신세계인터내셔날 등도 하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결국 정 부회장이 수습에 나섰는데, 요즘 잘 안 쓰는 단어가 나왔습니다.
'함양', 포털사이트에 검색해도 경남 함양군이 나올 정도로 잘 안 쓰는 말인데, 능력이나 품성을 갖춘다는 뜻입니다.
정 부회장은 SNS를 통해 국내 사업가가 지는 북한 리스크를 열거하며 "멸공은 나에게 현실"이라고 강조했지만, "일상의 언어가 정치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까지 계산하는 센스가 사업가의 자질이라면 함양하겠다"고 말했는데요.
신세계 측은 "정 부회장이 멸공이라는 표현을 쓰지 않겠다고 말했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먹튀 논란이 있던 카카오의 경영진 중에 결국 류영준 대표 내정자가 물러나기로 했죠?
[기자]
그렇습니다.
앞서 카카오페이 상장 약 한 달 만인 지난달 10일 카카오 경영진 일부가 스톡옵션을 행사하면서 카카오페이 주식 900억원어치를 팔았는데요.
류 대표도 약 469억원을 현금화했습니다.
노조에서 쟁의행위까지 하겠다는 경고가 나오자 결국 류 대표가 내정됐던 카카오 대표를 사퇴하면서 사태 봉합을 시도하는 중입니다.
[앵커]
이광호 기자, 잘 들었습니다.
어제 코스피는 1% 가까이 떨어져 2900선대 초반으로 내려왔습니다.
지수 자체가 떨어진 데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유독 시선을 끈 회사가 있었는데 신세계와 카카오입니다.
모두 인물 리스크를 짊어진 뒤 신뢰 회복에 나서는 중인데, 효과가 있을지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광호 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
신세계부터 짚죠.
정용진 부회장의 '멸공' 논란이 계속됐네요?
[기자]
네, 정 부회장이 의도했든 안 했든 '멸공' 단어 자체에 반중국 정서가 깔려 있어, 주력 회사인 신세계는 물론이고 중국에서 화장품 사업을 하는 신세계인터내셔날 등도 하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결국 정 부회장이 수습에 나섰는데, 요즘 잘 안 쓰는 단어가 나왔습니다.
'함양', 포털사이트에 검색해도 경남 함양군이 나올 정도로 잘 안 쓰는 말인데, 능력이나 품성을 갖춘다는 뜻입니다.
정 부회장은 SNS를 통해 국내 사업가가 지는 북한 리스크를 열거하며 "멸공은 나에게 현실"이라고 강조했지만, "일상의 언어가 정치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까지 계산하는 센스가 사업가의 자질이라면 함양하겠다"고 말했는데요.
신세계 측은 "정 부회장이 멸공이라는 표현을 쓰지 않겠다고 말했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먹튀 논란이 있던 카카오의 경영진 중에 결국 류영준 대표 내정자가 물러나기로 했죠?
[기자]
그렇습니다.
앞서 카카오페이 상장 약 한 달 만인 지난달 10일 카카오 경영진 일부가 스톡옵션을 행사하면서 카카오페이 주식 900억원어치를 팔았는데요.
류 대표도 약 469억원을 현금화했습니다.
노조에서 쟁의행위까지 하겠다는 경고가 나오자 결국 류 대표가 내정됐던 카카오 대표를 사퇴하면서 사태 봉합을 시도하는 중입니다.
[앵커]
이광호 기자, 잘 들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단독] "출금 막은 범죄계좌로 16억 송금"…은행 대응 도마 위
- 2.'집이 효자네'…실버타운 가도 연금 받고, 월세도 받는다?
- 3.'2900원 짜장면에 삼각김밥 덤'…한끼 식사 거뜬, 어디야?
- 4.병원비 급한데, 돈 없을 때 국민연금 급전 아시나요
- 5.[단독] 네이버, 가품 논란에 '초강수'…1년 정산금 안 준다
- 6.월급 300만원 직장인, 국민연금 1440만원 더 받는 비결은?
- 7.'애들 키우고, 빚 갚다보니'…빈곤 내몰린 노인들
- 8.'작년 137만명, 어쩔 수 없이 짐 쌌다'…남일 아니네
- 9.'1억? 우리는 1억에 4천 더'…저출산 영끌 대책 내놓은 이곳
- 10.대학 합격했다고 좋아했는데…이 소식에 부모님 '한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