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3천억원 대출 은행권 ‘불똥’…의심거래 금융감시망 ‘구멍’?

SBS Biz 권준수
입력2022.01.05 17:53
수정2022.01.05 18:41

[앵커]

약 1900억 원 횡령 사건이 발생한 오스템임플란트에는 주주뿐만 아니라 은행권도 돈이 물려 있습니다. 

이번 사태가 은행권으로도 번지는 모습인데요.

권준수 기자와 자세히 이야기 나눠보죠. 

권 기자, 먼저 은행별로 어느 정도 돈이 걸려 있나요? 

[기자] 

지난해 3분기 말 기준으로 오스템임플란트의 은행권 차입액은 모두 3025억 원에 달합니다. 

이 중 1년 안에 갚아야 하는 단기 차입금도 1085억 원입니다. 

장기 차입금까지 합하면 우리은행이 1073억 원 정도인데 지난해 말까지 절반 정도 상환됐습니다. 

다음으로 산업은행 804억 원, 수출입은행 250억 원 등 아직 은행별 대출이 남아있습니다. 

[앵커] 

그래서 은행들 어떻게 하고 있나요? 

[기자] 

각 은행은 오스템임플란트에 대한 신용재평가에 나섰습니다. 

일단 이번 사건으로 어느 정도 대출이 회수될 수 있을지 살펴보고 있는데요.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이번 횡령 사건은 손실이 크다고 판단해서 신용등급을 낮출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앵커] 

한꺼번에 1천억 원이 넘는 뭉칫돈이 나갔는데, 왜 사전에 탐지가 안 됐죠? 

[기자] 

은행에서는 예를 들어, 평소 십억단위 입출금 거래가 갑자기 천억단위로 되면 의심 거래로 지정되는데요.

그러나 금융권에서는 중견기업이 평소 수백억 원 정도의 거래를 하다 보니 이번 횡령액을 탐지하기는 매우 어려웠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관리자 설정이 문제였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요. 개인이 공동 인증서를 통해서 이체 한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듯이 오스템임플란트도 관리자 1명에 권한이 집중돼 있었을 거란 추측이 나옵니다. 

은행 차원의 예방책이 필요했다는 지적도 나오는데요. 

들어보시죠. 

[서지용 / 상명대 경영학부 교수 : 대부분 고객은 안전 자산에 투자할 거라 생각해서 예금을 맡기고 있는 거고 이런 자산을 안전하게 운용한다는 책임하에 사실 고객 돈을 받는 건데 대책 방안도 강구돼야 할 것 같거든요.] 

[앵커] 

권 기자, 금융당국은 어떻게 하기로 했나요? 

[기자] 

정은보 금감원장은 오늘(5일) 한 행사에서 기자들을 만나 이번 사태를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들어보시죠. 

[정은보 / 금융감독원장: 수사 과정에서 여러 사실관계나 법리적인 측면에서도 분석이 될 것이라 생각하고 저희도 면밀히 모니터링해서 필요한 시기에 (조사를) 꼭 하도록 하겠습니다.] 

금감원은 오늘부터 우리은행에 대한 2차 종합 검사에 나섰는데요. 

우리은행은 오스템임플란트의 주채권은행이다 보니 기업대출 건전성을 종합적으로 들여다 볼 예정입니다. 

금융정보 분석원도 의심거래에 대한 은행권 사전 신고가 제대로 작동됐는지 살펴보기로 했습니다.

[앵커]

네, 권준수 기자 잘 들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권준수다른기사
외국계 은행도 '돈 잔치'…지난해 순이익 40% 불어난 1.5조원
예대금리차 또 커졌다…5대 은행 전달대비 0.18%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