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외환위기 그림자 걷어낸 우리금융…‘6두체제’ 완전민영화

SBS Biz 이광호
입력2021.11.23 06:06
수정2021.11.23 09:58

IMF 위기로 흔히 기억하시는, 외환위기 당시 대형 은행이 줄줄이 파산하자 정부는 막대한 돈을 풀어 은행을 구제하고 이들의 지분과 경영권을 가져왔습니다. 경제가 회복되며 이 은행들은 속속 다시 민간 품으로 돌아갔지만, 유독 그 작업이 오래 걸린 게 우리금융입니다. 우리금융지주가 23년 만에 민간의 품으로 돌아가게 됐는데요 우리금융의 앞으로의 이야기를 이광호 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 그간 정부가 가지고 있던 우리금융 지분이 누구에게 넘어간 겁니까?
이제까지는 지분 15%가량을 보유한 예금보험공사가 우리금융지주의 최대 주주였는데요.

이 중 9%가 5개 회사에 넘어갑니다.



유진그룹 계열 사모펀드인 유진PE가 4%를 인수하기로 했고, KTB자산운용이 2%대, 두나무와 우리사주조합 등이 1%씩을 인수받게 됐습니다.

그래도 정부지분이 6%가량 남긴 남네요?


예금보험공사는 여전히 5.8%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주요 주주이긴 합니다.

그 위에는 국민연금이나 우리사주조합이 또 있기도 한데, 이들 세 주주는 경영권이 없습니다.

그 아래 보이는 민간 주주 6곳이 각각 1명씩 사외이사를 추천하게 되는데요.

그 면면을 보면, 사모펀드 두 곳과 증권사 두 곳, 그리고 생명보험사 두 곳이 우리은행을 비롯한 우리금융 계열사들을 이끌게 됐습니다.

이번 매각 완료로 정부는 그간 투입한 공적자금 거의 전체를 회수하게 됐습니다.

매각에 참 오랜 시간이 걸렸네요.

지난 1998년 외환위기 당시 대형 은행들이 와르르 무너질 때, 이 중 상업은행과 한일은행을 합쳐 정부 자금을 투입해 살리고, 한빛은행으로 다시 시작했던 게 현재 우리은행의 출발점이었습니다.

우리금융의 주식시장 상장을 시작으로 정부가 지분을 줄이려는 여러 노력을 진행했지만, 너무 큰 덩치 탓에 작은 지분만 팔렸고요.

2016년에서야 지분을 여러 주주에게 쪼개 파는 방식을 선택해 대량 매각에 성공했습니다.

이런 식으로 이뤄진 지분 매각만 10차례에 달했습니다.

앞으론 어떻게 될까요?

우리금융은 민영화 추진 과정에서 우리투자증권 등 은행 외 계열사들을 상당수 잃었습니다.

4대 금융지주의 위상치고는 증권사도, 생명보험사나 손해보험사도 없고, 우리카드도 BC카드의 네트워크를 빌려 쓰는 회사에 불과합니다.

이 부분 때문에 이제까지 시장에 금융회사 매물만 나오면 우리금융이 후보로 오르내렸던 건데, 앞으로는 이런 M&A가 현실화될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이광호 기자, 잘 들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이광호다른기사
[단독] "대웅 보톡스 못 맞아요?"...나보타 공급 차질, 왜?
중소기업 취업자 증가세 둔화…창업 기업 '급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