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대출연체율 착시효과?...낮은 수치가 더 불안
SBS Biz 최나리
입력2021.08.19 17:48
수정2021.08.19 18:52

[앵커]
대출은 넘쳐나고 아파트값은 계속 오르지만 은행 건전성 가늠자인 대출 연체율은 14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대출만기 연장에 따른 어찌 보면 착시효과인데요.
그래서 더 불안해 보입니다.
최나리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 6월 기준 가계와 기업 대출 연체율이 모두 떨어졌습니다.
연체율은 차주의 빚 감당 능력을 볼 수 있는 대표적 지표인데 14년 만에 최저수준입니다.
우선 가계대출 연체율은 전월 대비 0.04%P 내린 0.17%로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된 1년 전보다 0.08%P 하락했습니다.
기업 대출 연체율 역시 1년 전보다 0.07%p 떨어졌습니다.
특히 중소기업이나 개인사업자 등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이 눈에 띕니다.
최근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전 금융권에서 대출금 만기를 연장해 준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은행 관계자 : 코로나19 상황에도 대출 연체율은 정부의 금융지원이나 은행권의 건전성 관리 노력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금융지원이 종료될 경우 급속도로 건전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문제는 금리 인상 시 원리금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
코로나19 이후 지속된 저금리로 기업 10곳 중 7곳은 변동금리 대출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김대종 /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 : 기업전체의 88%는 중소기업이고 근로자의 99%는 중소기업 종사자입니다. 중소기업은 코로나 19로 인해 가장 큰 영향을 받았고 아직 회복을 못 하고 있다….]
다음 달 종료 예정이었던 금융권 대출 만기연장·이자 상환 유예 조치는 다시 연장될 가능성이 큽니다.
결국 금융지원이 끝난 후 맞게 될 은행 건전성 악화라는 파장이 시간문제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SBS Biz 최나리입니다.
대출은 넘쳐나고 아파트값은 계속 오르지만 은행 건전성 가늠자인 대출 연체율은 14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대출만기 연장에 따른 어찌 보면 착시효과인데요.
그래서 더 불안해 보입니다.
최나리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 6월 기준 가계와 기업 대출 연체율이 모두 떨어졌습니다.
연체율은 차주의 빚 감당 능력을 볼 수 있는 대표적 지표인데 14년 만에 최저수준입니다.
우선 가계대출 연체율은 전월 대비 0.04%P 내린 0.17%로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된 1년 전보다 0.08%P 하락했습니다.
기업 대출 연체율 역시 1년 전보다 0.07%p 떨어졌습니다.
특히 중소기업이나 개인사업자 등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이 눈에 띕니다.
최근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전 금융권에서 대출금 만기를 연장해 준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은행 관계자 : 코로나19 상황에도 대출 연체율은 정부의 금융지원이나 은행권의 건전성 관리 노력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금융지원이 종료될 경우 급속도로 건전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문제는 금리 인상 시 원리금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
코로나19 이후 지속된 저금리로 기업 10곳 중 7곳은 변동금리 대출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김대종 /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 : 기업전체의 88%는 중소기업이고 근로자의 99%는 중소기업 종사자입니다. 중소기업은 코로나 19로 인해 가장 큰 영향을 받았고 아직 회복을 못 하고 있다….]
다음 달 종료 예정이었던 금융권 대출 만기연장·이자 상환 유예 조치는 다시 연장될 가능성이 큽니다.
결국 금융지원이 끝난 후 맞게 될 은행 건전성 악화라는 파장이 시간문제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SBS Biz 최나리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제주 면세점서 양주 500밀리 4병 사다줘"…'이거' 사라졌다
- 2.[단독] 민주, 내달 4일 전 상법 개정안 처리
- 3."도수치료 안 받는데"…이런 분들 실손보험료 확 줄어든다
- 4.월급 397만원 받는다고요?…대한민국 평균 직장인입니다
- 5.연봉 9600만원 김과장, 15만 원 받는다?…신생아는?
- 6.[단독] 월세? 연금에서 빠집니다…국민연금, 노인복지주택 짓는다?
- 7.15년 전 가격에 통큰치킨 오픈런…"팔자마자 동났다"
- 8.대륙의 실수는 잊어라…청소기, 전기차 다음은 샤오미?
- 9.'치킨회사 보고 있나'…5천원 통큰 치킨 15년만에 돌아왔다
- 10.근로장려금 오늘부터 입금…맞벌이·노인 수혜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