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에 발목 잡힌 美 GDP 성장률…“실망스러운 속도”
SBS Biz 류정훈
입력2021.07.30 06:17
수정2021.07.30 06:35
[앵커]
미국의 2분기 경제성장률이 6.5%를 기록했습니다.
1분기에 이어 높은 상승률이지만, 시장의 기대치에는 미치지 못했는데요.
류정훈 기자, 미국 경제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군요?
[기자]
네, 미 상무부는 2분기 GDP 증가율이 연율 6.5%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1분기 6.4%보다 소폭 올랐는데요.
이로써 미국 경제는 지난해 1, 2분기에 코로나19 여파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뒤 곧바로 3분기에 급반등했고, 이후 플러스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6.5% 성장률은 기저효과로 30% 넘는 성장세를 기록한 지난해 3분기를 제외하면 2003년 이후 최고치입니다.
미국 경제의 이 같은 강한 회복세는 코로나19 백신이 이끌었는데요.
백신 접종이 늘고 봉쇄 조치가 완화되면서 미국인들의 이동이 증가했고, 여행과 레저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소비자들이 지갑을 열었습니다.
실제로 지난 2분기 개인소비지출은 11% 넘게 급증했습니다.
[앵커]
그런데 시장에서는 실망스럽다는 반응이 나와요?
[기자]
네. 시장이 예상한 수치는 6.5%보다 크게 높았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예상치는 연율 8.5%, 다우존스의 전망치는 8.4%였는데요.
2%p나 밑돈 배경에는 공급망 제한에 따른 충격과 고용 부진이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한편 지난주 미국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40만 건으로 집계됐는데요.
전주보다 2만 4천 건 줄었지만, 시장이 예상했던 38만 5천 건은 웃돌았습니다.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면 여전히 두 배나 많은 수치인데, CNBC는 "고용이 정상으로 돌아오려는 과정에서 경제의 많은 부문은 여전히 부진한 상황"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어제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고용시장 회복이 진행되고 있지만, 더 강한 지표를 보고 싶다고 말했는데요.
시장에서는 미국 경제 회복 속도가 하반기에 꺾일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SBS Biz 류정훈입니다.
미국의 2분기 경제성장률이 6.5%를 기록했습니다.
1분기에 이어 높은 상승률이지만, 시장의 기대치에는 미치지 못했는데요.
류정훈 기자, 미국 경제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군요?
[기자]
네, 미 상무부는 2분기 GDP 증가율이 연율 6.5%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1분기 6.4%보다 소폭 올랐는데요.
이로써 미국 경제는 지난해 1, 2분기에 코로나19 여파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뒤 곧바로 3분기에 급반등했고, 이후 플러스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6.5% 성장률은 기저효과로 30% 넘는 성장세를 기록한 지난해 3분기를 제외하면 2003년 이후 최고치입니다.
미국 경제의 이 같은 강한 회복세는 코로나19 백신이 이끌었는데요.
백신 접종이 늘고 봉쇄 조치가 완화되면서 미국인들의 이동이 증가했고, 여행과 레저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소비자들이 지갑을 열었습니다.
실제로 지난 2분기 개인소비지출은 11% 넘게 급증했습니다.
[앵커]
그런데 시장에서는 실망스럽다는 반응이 나와요?
[기자]
네. 시장이 예상한 수치는 6.5%보다 크게 높았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예상치는 연율 8.5%, 다우존스의 전망치는 8.4%였는데요.
2%p나 밑돈 배경에는 공급망 제한에 따른 충격과 고용 부진이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한편 지난주 미국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40만 건으로 집계됐는데요.
전주보다 2만 4천 건 줄었지만, 시장이 예상했던 38만 5천 건은 웃돌았습니다.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면 여전히 두 배나 많은 수치인데, CNBC는 "고용이 정상으로 돌아오려는 과정에서 경제의 많은 부문은 여전히 부진한 상황"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어제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고용시장 회복이 진행되고 있지만, 더 강한 지표를 보고 싶다고 말했는데요.
시장에서는 미국 경제 회복 속도가 하반기에 꺾일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SBS Biz 류정훈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내 계좌가 보이스피싱에?..."사전 차단 하세요" [2025 금감원]
- 2.보면 무조건 사…편의점에서 사라진 '불닭'
- 3."'어르신 운전중' 표지 붙였더니, 어떤 변화가?
- 4.美 배당주로 노후준비 미당족 '날벼락'…분노 커지자 결국
- 5.입주 앞두고 이런 날벼락…GS건설 '열쇠 못 준다 왜?'
- 6.함평 비트코인 황금박쥐…세금낭비에서 261억 돈벼락
- 7.삼성생명·삼성화재, 삼성전자 주식 2800억 매각
- 8.[단독] 허울뿐인 삼성 신인사제도…절대평가 대신 하위고과자 할당
- 9.'김 과장, 당장 휴가 써'…240억 사고난 기업은행 무슨 일?
- 10.'월세가 만원 한장 실화냐?'...여기선 실화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