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은행권 정책서민금융상품 '햇살론뱅크' 이달 말 출시…13개 은행 참여

SBS Biz 오정인
입력2021.07.01 14:34
수정2021.07.01 16:59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1일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열린 '햇살론뱅크 업무 협약 및 간담회'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자료: 금융위원회)]

주요 5대 시중은행을 포함해 13개 은행이 이달 말부터 신규 정책서민금융상품 '햇살론뱅크'를 출시합니다.

오늘(1일) 오후 금융위원회는 서민금융진흥원과 햇살론뱅크 참여은행 간 업무체계 구축을 위한 협약식을 개최했습니다.

협약식에는 서민금융진흥원과 은행연합회 등 유관기관을 비롯해 경남·광주·국민·기업·농협·대구·부산·수협·신한·우리·전북·제주·하나은행(가나다 순) 등 햇살론뱅크 참여 은행 13곳이 모두 참석했습니다.

햇살론뱅크는 정책서민금융상품을 이용했던 저신용·저소득 서민이 부채나 신용도 개선을 통해 은행권에 안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상품입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그동안 은행권 이용이 어려웠던 저신용자와 저소득자가 상환능력과 의지를 바탕으로 은행과 거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기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햇살론뱅크는 이달 말을 시작으로 올 하반기까지 3천억 원 공급될 예정입니다. 

은 위원장은 "시범운영기간을 통해 실수요를 모니터링하고 미비점을 개선해 내년도 햇살론뱅크 공급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지원 대상은 새희망홀씨, 햇살론15, 햇살론17, 안전망대출 등 정책서민금융상품을 이용한 지 1년 이상 경과하고 부채나 신용도가 개선된 저소득·저신용 서민입니다.

부채나 신용도 개선은 보증신청일 기준 최근 1년간 이용자의 가계 부채 잔액이 감소하거나 신용평점이 상승한 경우에 해당합니다.

소득·신용요건은 신용평점과 무관하게 연소득 3500만 원 이하이거나 신용평점 하위 100분의 20에 해당하면서 연소득 4500만 원 이하인 경우를 말합니다.

햇살론뱅크의 대출한도는 부채·신용도 개선에 따라 차등해 최대 2000만 원 한도 안에서 제공됩니다. 

별도 용도 제한 없이 생계자금 등을 지원하며, 3년 또는 5년의 원리금분할상환(거치기간 최대 1년) 방식입니다. 다른 정책서민금융상품과 마찬가지로 중도상환 수수료는 없습니다.

서민금융진흥원이 90% 보증을 제공하며, 이용 고객이 연 2%의 보증료를 부담합니다.

햇살론뱅크를 출시하는 은행별로 금리의 차이가 있으며 고객들은 연 4.9~8.0%의 금리를 부담하게 됩니다.

은행마다 자율적으로 성실상환자에 대한 우대금리 등을 추가 지원할 계획입니다.

오는 26일 IBK기업은행과 NH농협은행, 전북은행, BNK경남은행이 상품을 출시합니다. 이 외의 은행들은 올해 안으로 순차적으로 출시할 예정입니다.

은 위원장은 "햇살론뱅크가 충분히 공급되고 서민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은행에서는 홍보와 안내에 신경 써주길 부탁드린다"며 "서민금융진흥원에서는 현장의견·수요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해 주시길 당부드리며 정부도 집행상황을 살펴보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이날 협약식 및 간담회에 참석한 13개 은행장들에게 가계부채 증가, 금리 상승 우려 등과 관련해 당부의 메시지도 전했습니다.

은 위원장은 "그동안 이어져온 저금리 상황 속에서 금리 상승 리스크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하반기 중 촘촘한 가계부채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불요불급한 가계대출 취급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각별한 당부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금리 상승에 따른 위험을 정부 정책으로 모두 완화할 수 없다는 점을 언급했습니다.

은 위원장은 "차주는 변동금리보다 고정금리 대출을 통해 미래 금리 변동 위험을 줄여나갈 필요가 있다"며 "은행도 상환능력 범위에서 대출이 취급되는 관행이 정착되도록 노력을 기울여주길 당부드린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금리 상승에 따른 부담을 차주가 부담하기 보다는 "금리상한형 주택담보대출, 월 상환액 고정형 주택담보대출과 같이 은행과 차주가 그 부담을 분담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해주길 부탁드린다"고 전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오정인다른기사
김동연 "폭설피해 지자체와 함께 특별재난지역 지정 요청"
서울 시내버스노조 "'휴식시간 탄력 조정' 개정안 폐지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