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기업 오늘 사람] 삼성바이오로직스·쿠팡·테슬라·롯데홀딩스
SBS Biz 전서인
입력2021.05.20 07:49
수정2021.05.20 09:25

■ 경제와이드 모닝벨 '오늘 기업 오늘 사람' -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연구소장
◇ 모더나 백신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한미정상회담을 하루 앞두고 백신 동맹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회담에는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바이오기업 경영진이 동행하면서 보다 구체적인 방안이 나올 것으로 기대되는데요. 경제사절단에 바이오기업 경영진이 이름을 올렸죠.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 美와 '백신 동맹' 주시…글로벌 생산기지 도약 기대
- 존림 삼성바이오·안재용 SK바사 대표도 방미 동행
- 존림 대표 뉴욕행…모더나와 위탁생산 계약할 듯
- 사실상 합의…mRNA 백신 원료 공급받아 제품 생산
- SK바이오사이언스 안재용 대표는 19일 워싱턴행
- 안재용 대표, 노바백스 방문해 계약 연장 논의
- 美제조사와 백신 위탁생산 체결 성사땐 퀀텀성장 기대
- 해외지원 시사한 바이든…'백신 스와프' 성사 기대
- 삼바가 만드는 모더나 백신은…단순 병입? 8월 생산?
- 원액 생산 방식보다 단순 병입 방식 가능성 높아
- 생산 설비 투자한 론자 제외 모두 병입 방식 위탁
- mRNA 백신 원액 극도로 불안정…초저온 유통 필요
- 모더나 백신 생산 보도에…"추후 확인되면 재공시"
- 한국경제, 삼성바이오 화이자 백신 생산 오보 논란
- 이재용 역할 강조하려다 삼성바이오 주가만 널뛰기
- SK바이오, 유럽 품질관리 인증 획득…역량 입증
- EMA 현장 실사와 서류 검토 통해 최종 인증 회득
- 국내 시설 첫 EU- GMP 획득…유럽 시장 진출 탄력
- L하우스 증설 예정…신규 백신도 즉시 대량생산 가능
◇ 국민연금의 외면 '김범석 쿠팡'
국민연금이 최근 포트폴리오를 공개했죠. 지난 1분기에 미국 주식 28개를 새로 매입했는데, 쿠팡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최근 쿠팡 주가가 휘청이는 데다, 거품 논란도 끊이지 않고 있어 이를 의식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국내 대기업이 상장할 때는 줄곧 관심을 보였던 국민연금인데 쿠팡은 외면했어요?
- 국민연금, 미국 포트폴리오 공개…쿠팡은 없었다
- IFF·HCC인슈런스 등 28개 미국 주식 신규 매입
- 국내 대기업 상장 땐 적극 매수하더니 쿠팡 외면
- 쿠팡 상장 직후 69달러까지 치솟아…거품 논란 확대
- S&P500 ETF 2개도 전량 처분…MSCI USA로 선회
- 나스닥 조정 때 애플·MS·아마존 등 기술주 추매
- 쿠팡, 고점 69달러 대비 48% 하락…공모가 위태
- 1분기 실적 기대 이하…고성장 불구 영업적자 확대
- 쿠팡 1분기 매출 1.7배 늘때 적자는 3배 늘었다
- 투자·고용 등 관리비와 일회성 주식보상비가 원인
- 쿠팡, 언제 이익낼까…"손님도 구매액도 늘었다" 자신
- 1분기 활성 고객수 1600만 명…전년대비 21% 증가
- "쿠팡은 내 아들을 살려내라"…전국 순회 나선 유족
- '과로사' 故 장덕준씨 부모, 대구·부산 이어 서울로
- 작년 10월 칠곡 물류센터서 숨진 뒤 산재 인정받아
- 부산 방문 시작, 전국 순회…내달 쿠팡 앞서 기자회견
- "쿠팡이 내놓은 대책은 변명뿐"…재발방지 대책 요구
◇ 공매도 폭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오락가락 발언으로 비트코인 가격이 출렁이고 있죠. 피해는 고스란히 투자자들의 몫이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머스크의 해고를 목표로 하는 코인까지 등장했는데요. 미국 시장에서는 지금 테슬라를 두고, 거품이다 성장할 것이라는 논쟁이 계속되고 있어요?
- 비트코인, 머스크 쇼크에 '휘청'…3만 달러도 위협
- '스탑일론' 코인 등장…"머스크 해고하자" 목표
- 머스크, 가상자산에 한눈파는 사이 테슬라 위기 봉착
- 테슬라, 600달러 붕괴…1월 고점 대비 35% 하락
- 영화 '빅쇼트' 실존 인물, 테슬라 6천억 원 공매도
- "테슬라, 탄소배출권 수익에 의존…위험신호" 경고
- 테슬라 전망은?…빅쇼트 "망한다"vs.돈나무 "대박"
- 모델S와 X의 신형 출시 지연…中 규제 압박 직면
- 머스크, 테슬라 주가 하락에 부호 순위 2위→3위로
- 머스크의 조작 막기 위한 가상자산 '스탑일론' 등장
- "머스크 몰아내자" 만든 코인, 첫날 다섯배 넘게 올라
- 머스크 욕설 담은 가상자산…"투자자 반발의 상징"
- 중국서 테슬라 차량, 경찰관 들이받아 1명 사망
- 상하이 모터쇼에서 기습시위 이어 경찰관 사망사고
- 테슬라, 中 실적도 고꾸라져…4월 판매량 27% 감소
- 美서 테슬라 자율주행차 또 사고…안전성 논란 격화
- 머스크, 독일 테슬라 기가팩토리 공사장 깜짝 방문
- '불가능을 가능하게'…문제가 있는 현장에 나타나
- 독일 공장 7월 가동 일정 지연…규제·허가 절차 발목
- 中 판매 급감, 獨 승인 지연…'국제 밉상'된 테슬라
◇ 일본인 CEO '신동빈 롯데홀딩스'
일본 롯데홀딩스가 유니클로 대표이사 출신 인사를 대표이사로 선임했습니다. 신동빈 회장과 함께 롯데홀딩스를 이끌어갈 예정인데요. 새로운 인사가 대표이사로 영입됐죠? 어떤 인물인가요?
- 신동빈, 일본 롯데홀딩스 회장 유지…대표에 다마쓰카
- 코로나19로 일본 방문 제한, 외부 전문 경영인 영입
- 다마쓰카 사장에 일본 롯데 맡기고 한국에 집중할 듯
- 다마쓰카, 유니클로·편의점 로손 등 대표이사 역임
- 롯데홀딩스, 롯데 지배구조 정점…호텔롯데 최대주주
- 日서 경영복귀 또 시도하는 신동주…경영권 불씨 여전
- 광윤사, '신동주 이사 선임안' 주주제안 또 제출
- 신동빈 해임안은 없어…이사 결격사유 정관변경 요구
- 롯데홀딩스 최대주주 광윤사, 신동주가 최대주주
- 신동주, 민유성과 '프로젝트 L' 공모…그룹에 피해
- 신동주, 롯데 경영권 분쟁 日서 또 패소 "항소할 것"
- 日 법원, 앞서 '신동빈 이사직 유지 문제없다' 판결
- 무리수에 주주·임직원 신뢰 잃어…경영자 적격성 의문
- 경영권 분쟁 과정에서 신동주 전 부회장의 입지 약화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모더나 백신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한미정상회담을 하루 앞두고 백신 동맹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회담에는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바이오기업 경영진이 동행하면서 보다 구체적인 방안이 나올 것으로 기대되는데요. 경제사절단에 바이오기업 경영진이 이름을 올렸죠.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 美와 '백신 동맹' 주시…글로벌 생산기지 도약 기대
- 존림 삼성바이오·안재용 SK바사 대표도 방미 동행
- 존림 대표 뉴욕행…모더나와 위탁생산 계약할 듯
- 사실상 합의…mRNA 백신 원료 공급받아 제품 생산
- SK바이오사이언스 안재용 대표는 19일 워싱턴행
- 안재용 대표, 노바백스 방문해 계약 연장 논의
- 美제조사와 백신 위탁생산 체결 성사땐 퀀텀성장 기대
- 해외지원 시사한 바이든…'백신 스와프' 성사 기대
- 삼바가 만드는 모더나 백신은…단순 병입? 8월 생산?
- 원액 생산 방식보다 단순 병입 방식 가능성 높아
- 생산 설비 투자한 론자 제외 모두 병입 방식 위탁
- mRNA 백신 원액 극도로 불안정…초저온 유통 필요
- 모더나 백신 생산 보도에…"추후 확인되면 재공시"
- 한국경제, 삼성바이오 화이자 백신 생산 오보 논란
- 이재용 역할 강조하려다 삼성바이오 주가만 널뛰기
- SK바이오, 유럽 품질관리 인증 획득…역량 입증
- EMA 현장 실사와 서류 검토 통해 최종 인증 회득
- 국내 시설 첫 EU- GMP 획득…유럽 시장 진출 탄력
- L하우스 증설 예정…신규 백신도 즉시 대량생산 가능
◇ 국민연금의 외면 '김범석 쿠팡'
국민연금이 최근 포트폴리오를 공개했죠. 지난 1분기에 미국 주식 28개를 새로 매입했는데, 쿠팡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최근 쿠팡 주가가 휘청이는 데다, 거품 논란도 끊이지 않고 있어 이를 의식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국내 대기업이 상장할 때는 줄곧 관심을 보였던 국민연금인데 쿠팡은 외면했어요?
- 국민연금, 미국 포트폴리오 공개…쿠팡은 없었다
- IFF·HCC인슈런스 등 28개 미국 주식 신규 매입
- 국내 대기업 상장 땐 적극 매수하더니 쿠팡 외면
- 쿠팡 상장 직후 69달러까지 치솟아…거품 논란 확대
- S&P500 ETF 2개도 전량 처분…MSCI USA로 선회
- 나스닥 조정 때 애플·MS·아마존 등 기술주 추매
- 쿠팡, 고점 69달러 대비 48% 하락…공모가 위태
- 1분기 실적 기대 이하…고성장 불구 영업적자 확대
- 쿠팡 1분기 매출 1.7배 늘때 적자는 3배 늘었다
- 투자·고용 등 관리비와 일회성 주식보상비가 원인
- 쿠팡, 언제 이익낼까…"손님도 구매액도 늘었다" 자신
- 1분기 활성 고객수 1600만 명…전년대비 21% 증가
- "쿠팡은 내 아들을 살려내라"…전국 순회 나선 유족
- '과로사' 故 장덕준씨 부모, 대구·부산 이어 서울로
- 작년 10월 칠곡 물류센터서 숨진 뒤 산재 인정받아
- 부산 방문 시작, 전국 순회…내달 쿠팡 앞서 기자회견
- "쿠팡이 내놓은 대책은 변명뿐"…재발방지 대책 요구
◇ 공매도 폭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오락가락 발언으로 비트코인 가격이 출렁이고 있죠. 피해는 고스란히 투자자들의 몫이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머스크의 해고를 목표로 하는 코인까지 등장했는데요. 미국 시장에서는 지금 테슬라를 두고, 거품이다 성장할 것이라는 논쟁이 계속되고 있어요?
- 비트코인, 머스크 쇼크에 '휘청'…3만 달러도 위협
- '스탑일론' 코인 등장…"머스크 해고하자" 목표
- 머스크, 가상자산에 한눈파는 사이 테슬라 위기 봉착
- 테슬라, 600달러 붕괴…1월 고점 대비 35% 하락
- 영화 '빅쇼트' 실존 인물, 테슬라 6천억 원 공매도
- "테슬라, 탄소배출권 수익에 의존…위험신호" 경고
- 테슬라 전망은?…빅쇼트 "망한다"vs.돈나무 "대박"
- 모델S와 X의 신형 출시 지연…中 규제 압박 직면
- 머스크, 테슬라 주가 하락에 부호 순위 2위→3위로
- 머스크의 조작 막기 위한 가상자산 '스탑일론' 등장
- "머스크 몰아내자" 만든 코인, 첫날 다섯배 넘게 올라
- 머스크 욕설 담은 가상자산…"투자자 반발의 상징"
- 중국서 테슬라 차량, 경찰관 들이받아 1명 사망
- 상하이 모터쇼에서 기습시위 이어 경찰관 사망사고
- 테슬라, 中 실적도 고꾸라져…4월 판매량 27% 감소
- 美서 테슬라 자율주행차 또 사고…안전성 논란 격화
- 머스크, 독일 테슬라 기가팩토리 공사장 깜짝 방문
- '불가능을 가능하게'…문제가 있는 현장에 나타나
- 독일 공장 7월 가동 일정 지연…규제·허가 절차 발목
- 中 판매 급감, 獨 승인 지연…'국제 밉상'된 테슬라
◇ 일본인 CEO '신동빈 롯데홀딩스'
일본 롯데홀딩스가 유니클로 대표이사 출신 인사를 대표이사로 선임했습니다. 신동빈 회장과 함께 롯데홀딩스를 이끌어갈 예정인데요. 새로운 인사가 대표이사로 영입됐죠? 어떤 인물인가요?
- 신동빈, 일본 롯데홀딩스 회장 유지…대표에 다마쓰카
- 코로나19로 일본 방문 제한, 외부 전문 경영인 영입
- 다마쓰카 사장에 일본 롯데 맡기고 한국에 집중할 듯
- 다마쓰카, 유니클로·편의점 로손 등 대표이사 역임
- 롯데홀딩스, 롯데 지배구조 정점…호텔롯데 최대주주
- 日서 경영복귀 또 시도하는 신동주…경영권 불씨 여전
- 광윤사, '신동주 이사 선임안' 주주제안 또 제출
- 신동빈 해임안은 없어…이사 결격사유 정관변경 요구
- 롯데홀딩스 최대주주 광윤사, 신동주가 최대주주
- 신동주, 민유성과 '프로젝트 L' 공모…그룹에 피해
- 신동주, 롯데 경영권 분쟁 日서 또 패소 "항소할 것"
- 日 법원, 앞서 '신동빈 이사직 유지 문제없다' 판결
- 무리수에 주주·임직원 신뢰 잃어…경영자 적격성 의문
- 경영권 분쟁 과정에서 신동주 전 부회장의 입지 약화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단독] 국민연금 월 300만 원 처음 나왔다…누굴까?
- 2."위약금, SKT 사운 걸려"…"영업정지 최대 3개월 가능"
- 3."월급 많이줘도 싫어요" 짐싸는 지방 청년들…어디로 갔나?
- 4."주말에도 영화관 자리 텅텅 비더니"…결국 이런 일이
- 5."시장서 물건 사니 돈 돌려주네"…10% 환급 뭐야 뭐?
- 6.SKT에 '위약금 면제·인당 30만원 배상' 요구 집단분쟁조정 신청
- 7.늙어가는 대한민국…국민연금 수령은 68세부터?
- 8."부자로 죽지 않겠다"…빌 게이츠 "재산 99% 앞으로 20년간 사회에 환원"
- 9.'이것 없는 한국, 상상하기 어렵다'…이 회사 또 일 냈다
- 10.대선 앞두고 세종 아파트값 상승률 '전국 1위' 파죽지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