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전략] 뉴욕증시, 저가 매수세 유입에 상승…다우 1.29%↑
SBS Biz 전서인
입력2021.05.14 07:32
수정2021.05.14 08:04

■ 경제와이드 모닝벨 '전문가 전화 연결' - 김민수 레몬리서치 대표
Q. 뉴욕증시가 나흘 만에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저가 매수세 덕분이라고 보면 될까요?
- CPI 이어 PPI도 예상치 상회…실업 지표도 개선
- "인플레이션 일시적 믿음 더 많다"…뉴욕증시 반등
- 美 신규 실업수당 47만3천건…팬데믹 이후 최저
- 美 4월 생산자물가 6.2%↑…인플레 우려는 여전
- 美, 고용 회복 빨라지고 인플레이션 압력도 확대
- 연준 스탠스는 여전히 '일시적' 물가 급등세 용인
- 7월까진 기저효과로 물가상승률 높게 나올 가능성
- 기저효과 빼도 물가 압력 상당…당분간 고물가 지속
- 유가, 美 송유관 재개에 급락…달러화 강세 '주춤'
- "비트코인 결제 철회, 테슬라 주가 변동성 키울 수도"
- 웨드부시 "충격적이고 혼란스러워"…리스크로 지목
- 테슬라, 3% 넘게 하락…200일 이동평균선 밑돌아
Q. 인플레이션 우려가 여전한 가운데 당분간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 밖에 없는데요. 업종별 전략 어떻게 세워야 할까요?
- 美, 마스크 벗는다…"경제 완전재개에 한 걸음 더"
- 7월 4일까지 성인 70% 1회 이상 백신 접종 목표
- 성장주 보다는 경기민감주·가치주에 유리한 환경
- 저가매수 신중해야…6월 FOMC 회의가 분수령 될 듯
- 인플레 국면에서 나이키·에너지 기업들 수혜 기대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Q. 뉴욕증시가 나흘 만에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저가 매수세 덕분이라고 보면 될까요?
- CPI 이어 PPI도 예상치 상회…실업 지표도 개선
- "인플레이션 일시적 믿음 더 많다"…뉴욕증시 반등
- 美 신규 실업수당 47만3천건…팬데믹 이후 최저
- 美 4월 생산자물가 6.2%↑…인플레 우려는 여전
- 美, 고용 회복 빨라지고 인플레이션 압력도 확대
- 연준 스탠스는 여전히 '일시적' 물가 급등세 용인
- 7월까진 기저효과로 물가상승률 높게 나올 가능성
- 기저효과 빼도 물가 압력 상당…당분간 고물가 지속
- 유가, 美 송유관 재개에 급락…달러화 강세 '주춤'
- "비트코인 결제 철회, 테슬라 주가 변동성 키울 수도"
- 웨드부시 "충격적이고 혼란스러워"…리스크로 지목
- 테슬라, 3% 넘게 하락…200일 이동평균선 밑돌아
Q. 인플레이션 우려가 여전한 가운데 당분간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 밖에 없는데요. 업종별 전략 어떻게 세워야 할까요?
- 美, 마스크 벗는다…"경제 완전재개에 한 걸음 더"
- 7월 4일까지 성인 70% 1회 이상 백신 접종 목표
- 성장주 보다는 경기민감주·가치주에 유리한 환경
- 저가매수 신중해야…6월 FOMC 회의가 분수령 될 듯
- 인플레 국면에서 나이키·에너지 기업들 수혜 기대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월급 많이줘도 싫어요" 짐싸는 지방 청년들…어디로 갔나?
- 2.[단독] 국민연금 월 300만 원 처음 나왔다…누굴까?
- 3."위약금, SKT 사운 걸려"…"영업정지 최대 3개월 가능"
- 4.늙어가는 대한민국…국민연금 수령은 68세부터?
- 5."주말에도 영화관 자리 텅텅 비더니"…결국 이런 일이
- 6.SKT에 '위약금 면제·인당 30만원 배상' 요구 집단분쟁조정 신청
- 7."시장서 물건 사니 돈 돌려주네"…10% 환급 뭐야 뭐?
- 8."부자로 죽지 않겠다"…빌 게이츠 "재산 99% 앞으로 20년간 사회에 환원"
- 9.'이것 없는 한국, 상상하기 어렵다'…이 회사 또 일 냈다
- 10.망고빙수 15만원 시대…누가 사먹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