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금리 인상 가능성에 가계 12조 원 이자폭탄 우려

SBS Biz 정윤형
입력2021.05.13 17:46
수정2021.05.13 19:25

[앵커]

물가 인상 압력이 계속 높아지는 상황인 만큼 우리나라도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현실화되면 가계가 질 이자 부담이 더 무거워지게 됩니다.

정윤형 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국은행은 어떤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까?

[기자]

네, 코로나19로 경기 침체가 예상되자 한국은행은 지난해 기준금리를 0.5%까지 내리고 1년째 유지하고 있는데요.

완화적 통화정책이 지속되면서 시중에 많은 돈이 풀렸고 이 돈이 주식과 부동산 같은 자산시장으로 흘러 들어갔습니다.

문제는 빚을 내면서까지 무리하게 투자하는 상황이 발생한 것인데요.

때문에 가계 빚을 억제하기 위해서라도 금리 인상을 앞당겨야한다는 주장이 한은에서도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달 한은 금통위 회의에서는 "가계대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등 금융불균형에 대한 우려가 커져 통화정책적 차원의 고려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쉽게 말해 "금리 인상을 앞당겨야 한다"는 뜻입니다.

[앵커]

만약 금리가 올라가면 전체 가계 이자는 얼마나 늘어납니까?

[기자]

네,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빌린 가계대출은 지난해 4분기 기준 1630조 원이고 지금은 1700조 원에 육박할 것으로 추산되는데요.

이 중 70%가 변동금리라고 합니다.

대출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가계 전체의 이자 부담이 약 12조 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앵커]

이런 얘기를 하는 이유는 결국 인플레이션 우려 때문인데 정부는 어떻게 보고 있습니까?

[기자]

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3%를 기록하면서 한은의 물가안정 목표치인 2%를 넘어섰는데요.

하지만 정부는 "기저효과 탓"이라며 인플레이션 가능성에 대해선 선을 그었습니다.

KDI, 한국개발연구원도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가격이 올라 일시적으로 물가가 올랐다"며 "소비와 건설투자 등 내수가 부진해 물가가 크게 오르진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앞서 골드만삭스 등 세계 주요 투자은행 9곳도 올해 우리나라 물가 상승률 전망치 평균을 1.6%로 잡았습니다.

다만 크게 불어난 통화량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도 있다는 우려는 나옵니다. 

3월 시중통화량은 3313조 원으로 1년 전보다 11% 증가했는데요.

이는 2009년 3월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입니다.

[앵커]

정부 입장과 시장 전망이 아직 엇갈리고 있는데, 일단 지켜봐야겠죠.

정윤형 기자, 잘 들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정윤형다른기사
다들 좋아졌는데…없는 사람은 더 힘들어 졌다
국민 경제이해력 평균점수 58.7점…금융분야서 취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