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이슈앤 직설] 美 경제회복 ‘과속’…韓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은?

SBS Biz
입력2021.04.15 08:35
수정2021.04.15 10:31

■ 경제와이드 이슈& '직설' - 신세돈 숙명여대 명예교수, 정대영 송현경제연구소장, 양준석 가톨릭대 경제학부 교수

미국 경기 회복 기대감이 커지면서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시점이 앞당겨질 것이란 관측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한국은행도 우리 경제과 상관없이 긴축 정책으로 전환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는데요. 금융시장 충격이 우려되는 만큼, 어떤 대비책을 마련해야 하는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Q. 연준은 지난 3월 올해 미국 GDP 성장률 전망을 종전 4.2%에서 6.5%로 상향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연준이 저금리 방어를 이어갈 수 있을까요?

Q. 우리 경제보다 미국 경제가 빠른 속도로 회복할 경우엔 국내 금융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을까요?

Q. 수출 호조 등에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있지만, 금통위가 동결 외엔 선택지가 없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는데요. 이번 4월 금통위의 결정, 어떻게 보십니까?

Q. 3월 취업자 수가 코로나19 사태 이후 13개월 만에 처음으로 증가세로 돌아섰습니다. 금통위 결정에 영향을 미칠 만큼 의미있는 수치라고 보십니까?

Q. 한은은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가계부채 가운데 변동금리 대출 비중을 72.2% 가량으로 추정했습니다. 금리가 1%만 올라도 빚을 내 주식과 집을 산 ‘영끌’ 투자자들이 버티기 어려워질 텐데요. 그러다 보니, 가계부채 때문에 금리를 올려야 하는 상황에서도 못 올리는 상황이 오진 않을까요?

Q. 금리가 상승하면 주가는 하락하고, 금리가 하락하면 주가는 상승하는데요. 유동자금이 여전히 풍부한 가운데, 금리 인상 우려에도 나오고 있습니다. 코스피엔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Q. 14일 오후 2시를 기준으로 국내 거래소에서 비트코인이 역대 최고가인 8천100만 원을 기록했습니다. 올해 들어 암호화폐 거래액도 크게 증가했는데요. 암호화폐가 제도권화 진입에 들어서고 있는 과정일까요?

Q. 가계부채 뿐만 아니라 국가부채에 대한 경고도 나왔습니다. IMF가 한국의 부채 부담이 폭발할 수 있다고 한 건데요. 왜 이런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고 보십니까?

Q. 정부는 지난 6일 국가 부채가 1985조 원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 가운데 1천45조 원이 공무원·군인연금으로 줘야 할 돈이었는데요. 그래서 나랏빚 논란이 일자, 홍남기 부총리는 국가부채는 나랏빚이 아니라고 했죠. 공무원, 군인연금 적자, 정말 나랏빚이 아닌 건가요?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