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바이 아메리칸’ vs. ‘반도체·배터리 굴기’…총수 부재 삼성 ‘대략난감’

SBS Biz 권세욱
입력2021.04.13 17:56
수정2021.04.13 20:04

[앵커]

미국과 중국의 자국 중심 첨단산업 공급망 재편 경쟁이 치열합니다.

이에 따라 반도체와 배터리를 주력으로 삼고 있는 우리 기업들 입장이 난처해졌습니다.

권세욱 기자와 좀 더 살펴보겠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공격적 투자를 독려했는데, 회의에 참석한 삼성전자는 선택의 기로에 섰다고 봐야겠군요?

[기자]

네, 삼성전자는 현재 미국에서  20조원 규모의 파운드리 반도체 공장 건설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지는데요.

미국 내 투자와 생산이 늘어나면 반도체 연간 매출의 30%를 차지하는 중국 시장 전략에 대한 부담감도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고 미국에 투자를 하지 않으면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어 총수 부재 속에 고심이 깊어질 것으로  보이는데요.

설명 들어보시죠.

[이주완 / 포스코경영연구원 연구위원 : 최소 50% 이상은 미국에서 생산해야 관세 인하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이런 식의 강경책을 통해서 미국 내 생산 시설을 높이려는 정책을 이어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앵커]

미국 정부가 자국 내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필요성도 강조하지 않았습니까?

[기자]

네, 국내 주요 기업들은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을 거점으로 삼고 사업을 펼치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 SK그룹 소재 계열사는 중국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분리막 2공장이 상업 생산에 돌입했다고 오늘(13일) 밝히기도 했는데요.

미·중 반도체 전쟁이 배터리로도 확전되면 관련 기업들의 사업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설명 들어보시죠.

[손승우 / 중앙대 산업보안학과 교수 : 완성된 배터리 제품은 수출도 해야 하는데요. 중국은 정책에 따라서 자국의 제품을 우선하는 정책들이 있기 때문에 기업이 떠안고 가야되는 리스크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앵커]

이제 반도체와 배터리를 기업 간의 경제 이슈로만 바라봐선 안 된다는 얘기도 있는데, 어떻게 봐야 할까요?

[기자]

네, 국제적 안보 이슈가 됐다는 건데요.

이에 따라  개별 기업 대응에 한계가 있는 만큼 정부 역할론에 대한 지적도 제기됩니다.

들어보시죠.

[정인교 / 인하대 국제통상학과 교수 : 미·중 양국으로부터 우리 기업들에 대한 압력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지금까지의 전략적 모호성에서 벗어나서 구체적인 입장을 이제는 정해야 한다고 봅니다.]

[앵커]

우리 정부는 이제 로드맵 수립에 나서는 단계라는 걸 감안하면, 좀 급해질 필요가 있겠군요.

권세욱 기자, 잘 들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권세욱다른기사
내년 소주·위스키 싸진다?…세금 깎아 출고가 낮춘다
36억弗 흑자 내고도 웃지 못하는 '대한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