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상용화 2년, 품질 불만 여전…알뜰폰도 자체 요금제
SBS Biz 류선우
입력2021.04.02 07:01
수정2021.04.02 07:36

[앵커]
내일(3일)이면 우리나라가 5G 이동통신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지 2년이 됩니다.
품질에 대한 소비자 불만이 여전한 가운데, 비싼 요금제와 단말기 가격은 속속 내려가고 있습니다.
보도에 류선우 기자입니다.
[기자]
현재 5G 가입자는 1,300만 명을 넘었습니다.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 5명 중 1명이 5G 서비스를 쓰는 셈입니다.
하지만 5G 기지국은 전체의 10%도 안 됩니다.
주요 다중이용시설 10곳 중 6곳에서만 5G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속도도 여전히 문제입니다.
평균 5G 다운로드 속도는 690Mbps로, LTE의 4배 수준입니다.
당초 홍보된 20배에 크게 못 미칩니다.
서비스 불만에 이용자 1만여 명은 집단 소송을 준비 중입니다.
[김진욱 / 5G 집단소송 담당 변호사 : LTE보다 느리고, 끊기고, 비싸고, (광고를) 믿고 가입했는데, 실제로는 5G 요금만 비싸게 내고 있고, 서비스는 제대로 안 되고 속았다는 기분들을 많이 느끼고 계시는 것 같아요.]
최근 5G 요금제는 속속 인하되고 있습니다.
이통3사는 최근 중저가 5G 온라인 요금제를 선보였습니다.
알뜰폰 업체들도 이번 달 4천 원에서 4만 원대의 저가 요금제를 내놓을 예정입니다.
[김남철 / 과기정통부 통신경쟁정책과장 : 알뜰폰 사업자들이 독자적으로 30GB, 12GB 이하 중·소량 구간의 다양한 요금제를 출시할 예정입니다.]
삼성전자 폴더블폰 가격이 50만 원 이상 인하되는 등 단말기 가격도 내려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끊김 현상과 속도 개선이 없다면 서비스 품질 논란은 계속될 전망입니다.
SBS Biz 류선우입니다.
내일(3일)이면 우리나라가 5G 이동통신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지 2년이 됩니다.
품질에 대한 소비자 불만이 여전한 가운데, 비싼 요금제와 단말기 가격은 속속 내려가고 있습니다.
보도에 류선우 기자입니다.
[기자]
현재 5G 가입자는 1,300만 명을 넘었습니다.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 5명 중 1명이 5G 서비스를 쓰는 셈입니다.
하지만 5G 기지국은 전체의 10%도 안 됩니다.
주요 다중이용시설 10곳 중 6곳에서만 5G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속도도 여전히 문제입니다.
평균 5G 다운로드 속도는 690Mbps로, LTE의 4배 수준입니다.
당초 홍보된 20배에 크게 못 미칩니다.
서비스 불만에 이용자 1만여 명은 집단 소송을 준비 중입니다.
[김진욱 / 5G 집단소송 담당 변호사 : LTE보다 느리고, 끊기고, 비싸고, (광고를) 믿고 가입했는데, 실제로는 5G 요금만 비싸게 내고 있고, 서비스는 제대로 안 되고 속았다는 기분들을 많이 느끼고 계시는 것 같아요.]
최근 5G 요금제는 속속 인하되고 있습니다.
이통3사는 최근 중저가 5G 온라인 요금제를 선보였습니다.
알뜰폰 업체들도 이번 달 4천 원에서 4만 원대의 저가 요금제를 내놓을 예정입니다.
[김남철 / 과기정통부 통신경쟁정책과장 : 알뜰폰 사업자들이 독자적으로 30GB, 12GB 이하 중·소량 구간의 다양한 요금제를 출시할 예정입니다.]
삼성전자 폴더블폰 가격이 50만 원 이상 인하되는 등 단말기 가격도 내려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끊김 현상과 속도 개선이 없다면 서비스 품질 논란은 계속될 전망입니다.
SBS Biz 류선우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좋은 물' 마시려 '생수' 먹었는데…30년만에 벌어진 일
- 2.한 때 국민고시였던 '이 자격증'…'개업은 커녕 폐업 걱정'
- 3.1600억대 ‘론스타 소송’ 8년만에 한국 정부 승…파기환송
- 4.[단독] KB·NH, SKT 인증 중단했다…유출 사고 후폭풍
- 5.5월 초 황금연휴 없다…"2일 출근하세요"
- 6."트럼프, 적수 만났다…최대 강적은 시장"
- 7.국민연금 때문에 땅치고 후회?…31만명 건보료 유탄
- 8.'백발 아빠는 일하고 청년 아들은 백수'…이유 물어보니
- 9.[단독] 이재명, 부동산 '우클릭'..기본주택·국토보유세 설계자 빠졌다 [대선 2025]
- 10.국민연금 때문에 후회?…건보료에 억울한 31만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