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뉴스‘까’페] '지역밀착형'이라더니…저축은행 대출, 수도권 늘고 지방은 줄고

SBS Biz 오정인
입력2021.03.08 16:53
수정2021.03.08 19:37



지난해 저축은행 대출이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비수도권 대출은 감소하거나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쳐 '지역밀착형'이란 저축은행 취지가 무색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업계 안팎에선 지역 기업과 고객을 유인할 수 있도록 규제 완화와 인센티브가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나오지만 당장 뚜렷한 대책이 나오긴 어려울 것이란 전망입니다.

대출 늘수록 지역간 격차 더 벌어져
지난해 수도권 대출만 83%



지난해 저축은행 대출 잔액은 77조4754억 원으로 1년 전(64조9503억 원)보다 10조 원 넘게 증가했습니다. 

지난 2004년 통계가 작성된 이후 역대 최대치입니다. 연간 증가폭도 가장 컸습니다.

하지만 대출 규모가 증가할수록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격차도 더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3년간 저축은행 대출 가운데 서울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그 다음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곳은 경기가 20%대로 집계됐습니다.

인천은 아직 5%대에 못 미치는 상황입니다.

서울과 경기, 인천의 저축은행 대출 잔액은 2018년 48조2038억 원에서 지난해 65조838억 원으로 증가했습니다. 

수도권 지역 대출이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한 것입니다. 

서울·경기 이어 '3위' 부산은 5% 불과
매년 소폭 늘거나 감소세 지속



비수도권 가운데 저축은행 대출 잔액이 가장 많은 곳은 부산이었습니다.

부산의 지난해 대출 잔액은 4조1403억 원으로 전체 대출의 5.34%를 차지 했습니다.

그 다음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건 충북(2.02%), 대구(1.89%), 광주(1.67%), 충남(1.41%), 경남(1.07%) 순입니다.

이 외에 다른 비수도권 지역의 경우 전체 대출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이 1%도 채 되지 않습니다.

대출 비중이 1% 이상인 지역의 경우 매년 대출 잔액이 소폭 증가하는 모습이지만, 나머지 지역은 매년 줄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해당 지역에 거점을 둔 저축은행에 지역 내 중소기업 대출이 몰렸지만 이마저도 줄어드는 상황입니다.

업계 관계자는 "실제 각 지방의 중소기업도 대체적으로 대형사를 선호하는 분위기"라며 여기에 지방 저축은행들도 지방 기업의 부실이 터질 것을 우려해 지역 내 대출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저축은행 2곳 중 1곳 수도권에 거점
"영업권역 쏠림에 대출도 집중"

대형 저축은행들이 수도권에 모여있는 만큼 업계에선 "당연한 결과"라고 말합니다.



현재 전국 저축은행 79개사 가운데 42개사가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영업 중입니다.

부산과 경남은 12개사, 대구·경북·강원은 11개사가 지점을 두고 있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영업권역만 봐도 수도권에 쏠림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며 "지방 저축은행 영업에 대한 인센티브 등 없이는 사실상 흐름이 바뀌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저축은행의 지역 내 대출 기준도 지역 간 격차를 높이는 데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지방 소재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해당 지역 내에서 대출의 40%를 취급해야 자산 확충이 가능하다"면서 "은행 입장에선 위험 부담이 큰 기업에게 대출을 내 줄 수도 없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당국, 지원대책 검토…업계는 '글쎄'
"과감한 지원책 없이는 격차 지속될 것"

이와 관련해 금융당국은 중·소형 저축은행에 대한 규제 완화 대책을 검토 중입니다.

특히 수도권과 비수도권 저축은행 간 격차를 줄이기 위해 중·소형사의 M&A 규제완화 등 여러 방안을 논의하고 있지만, 저축은행들의 반응은 미지근하기만 합니다.

한 대형 저축은행 관계자는 "대형사들도 여건이 마냥 좋지만은 않은 상황에 M&A를 하긴 버거울 것"이라며 "중·소형사가 지역 내에서 경쟁력을 높이고 자산을 늘릴 수 있는 별도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말했습니다. 

업권 내 자율적인 M&A를 허용해 격차를 최소화한다는 방침이지만, 이미 '벌어질대로 벌어진' 수도권과 비수도권 저축은행의 차이를 메우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입니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부 교수는 "당국이 수수방관하는 면도 없지 않다"며 "정부의 포용금융 기반을 다지기 위해서라도 중·소형 저축은행 육성을 위한 지원방안 등을 더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한시적으로라도 비수도권 저축은행의 대출 기준이나 총량 등에 대한 우대조치를 검토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라며 "과감한 인센티브 없이는 지역 간 격차는 계속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오정인다른기사
최상목 "여성 경활·교육 개혁으로 사회 이동성 제고"
무슨 이야기 나눌까…다음 주 월요일 첫 양자회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