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은 푼돈?…CJ 이재현·롯데 신동빈 200억 원대 배당금
SBS Biz 신윤철
입력2021.02.23 11:23
수정2021.02.23 12:00

[앵커]
유통기업들이 지난해 실적을 공개하면서 각 기업 오너들이 받는 배당금 규모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특히 식품기업 오너들의 배당금이 눈에 띄는데요.
신윤철 기자, 유통회사 중에서 가장 많은 배당금을 받는 오너가 누구인가요?
[기자]
CJ그룹의 이재현 회장과 롯데그룹의 신동빈 회장입니다
유통기업 오너 중 두 사람만이 배당금 규모가 200억 원을 넘는데요.
이재현 회장은 CJ와 CJ제일제당, CJ ENM 등 3개 회사 지분에 따른 배당금이 254억 원인데, 핵심 계열사 CJ제일제당이 지난해 영업이익이 50% 이상 급증하는 등 호실적을 거두면서 전체 배당금이 2019년보다 20억 원가량 늘었습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롯데지주와 롯데쇼핑, 롯데제과 계열사 3곳에서 받게 되는 배당금은 220억 원입니다.
신 회장 역시 전년도 배당금 213억 원보다 소폭 증가했는데, 롯데그룹이 전반적으로 호실적을 거둔 건 아니지만, 부친인 고 신격호 롯데그룹 창업주로부터 지분을 물려받은 영향이 있습니다.
[앵커]
이 외에도 100억 원 이상의 고배당을 받은 오너들도 꽤 있죠?
[기자]
그렇습니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은 작년 실적에 따라 132억의 배당금을 받는데, 이마트 등 핵심계열사가 호실적을 거뒀고, 여기에 모친 이명희 신세계 그룹 회장으로부터 지분을 증여받으면서 올해 처음으로 배당금 규모가 100억 원 대를 넘게 됐습니다.
이 외 오리온그룹의 부부 경영자인 담철곤 회장과 이화경 부회장의 배당금은 각각 129억 원과 144억 원이고, 김석수 동서식품 회장이 132억 원에 2대 주주인 김상헌 전 회장도 122억 원을 받을 전망입니다.
기업 오너들이 받는 배당금은 상장사 공시 기준이어서, 비상장사를 감안하면 배당금 규모는 더 커질 수 있습니다
SBS Biz 신윤철입니다.
유통기업들이 지난해 실적을 공개하면서 각 기업 오너들이 받는 배당금 규모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특히 식품기업 오너들의 배당금이 눈에 띄는데요.
신윤철 기자, 유통회사 중에서 가장 많은 배당금을 받는 오너가 누구인가요?
[기자]
CJ그룹의 이재현 회장과 롯데그룹의 신동빈 회장입니다
유통기업 오너 중 두 사람만이 배당금 규모가 200억 원을 넘는데요.
이재현 회장은 CJ와 CJ제일제당, CJ ENM 등 3개 회사 지분에 따른 배당금이 254억 원인데, 핵심 계열사 CJ제일제당이 지난해 영업이익이 50% 이상 급증하는 등 호실적을 거두면서 전체 배당금이 2019년보다 20억 원가량 늘었습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롯데지주와 롯데쇼핑, 롯데제과 계열사 3곳에서 받게 되는 배당금은 220억 원입니다.
신 회장 역시 전년도 배당금 213억 원보다 소폭 증가했는데, 롯데그룹이 전반적으로 호실적을 거둔 건 아니지만, 부친인 고 신격호 롯데그룹 창업주로부터 지분을 물려받은 영향이 있습니다.
[앵커]
이 외에도 100억 원 이상의 고배당을 받은 오너들도 꽤 있죠?
[기자]
그렇습니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은 작년 실적에 따라 132억의 배당금을 받는데, 이마트 등 핵심계열사가 호실적을 거뒀고, 여기에 모친 이명희 신세계 그룹 회장으로부터 지분을 증여받으면서 올해 처음으로 배당금 규모가 100억 원 대를 넘게 됐습니다.
이 외 오리온그룹의 부부 경영자인 담철곤 회장과 이화경 부회장의 배당금은 각각 129억 원과 144억 원이고, 김석수 동서식품 회장이 132억 원에 2대 주주인 김상헌 전 회장도 122억 원을 받을 전망입니다.
기업 오너들이 받는 배당금은 상장사 공시 기준이어서, 비상장사를 감안하면 배당금 규모는 더 커질 수 있습니다
SBS Biz 신윤철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좋은 물' 마시려 '생수' 먹었는데…30년만에 벌어진 일
- 2.한 때 국민고시였던 '이 자격증'…'개업은 커녕 폐업 걱정'
- 3.1600억대 ‘론스타 소송’ 8년만에 한국 정부 승…파기환송
- 4.[단독] KB·NH, SKT 인증 중단했다…유출 사고 후폭풍
- 5.5월 초 황금연휴 없다…"2일 출근하세요"
- 6."트럼프, 적수 만났다…최대 강적은 시장"
- 7.국민연금 때문에 땅치고 후회?…31만명 건보료 유탄
- 8.[단독] 이재명, 부동산 '우클릭'..기본주택·국토보유세 설계자 빠졌다 [대선 2025]
- 9.'백발 아빠는 일하고 청년 아들은 백수'…이유 물어보니
- 10.SKT 유심 교체가 근본 대책?…"재발시 무용지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