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한은과 전금법 ‘충돌’…은성수 “빅브라더? ‘과장’에 화난다”
SBS Biz 최나리
입력2021.02.19 17:54
수정2021.02.19 19:17

[앵커]
국회 통과를 앞둔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을 둘러싸고, 한국은행과 금융위원회의 갈등이 격해지고 있습니다.
한은이 이번 개정안에 대해 "감시하고 통제하는 의미의 '빅브라더법'"이라고 비판하자,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공개 반박에 나섰습니다.
최나리 기자,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뭐라고 했나요?
[기자]
한국은행의 '빅 브라더' 비판은 '지나친 과장'이라고 반박했습니다.
빅브라더란, 정보의 독점으로 사회를 통제하는 관리 권력을 의미하는데요.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오늘(19일) 서울 은행연합회에서 정책금융기관장과의 간담회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한은이 ‘빅브라더’라고 한 건 오해다. 조금 화가 난다"고 했습니다.
[앵커]
이런 갈등이 나온 배경은 뭡니까?
[기자]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에 따르면 네이버나 카카오 등 빅테크 기업은 지급결제청산기관인 금융결제원을 거쳐 이용자와 금융 거래를 해야 하고, 이를 금융위원회가 모두 들여다 볼 수 있습니다.
금융위는 이같은 감독 권한에 대해 만약의 금융사고에 대비한 피해자 보호 차원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통신사처럼 법원의 영장 등 제한적인 경우에만 정보 조회가 가능한 식이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개정안 통과를 반대하는 한국은행은 최근 입장 자료를 내고 전금법 개정안이 '빅브라더' 수단이 될 수 있다고 강하게 비판하며 갈등이 커지고 있습니다.
한은이 "빅테크 업체의 모든 거래정보를 금융위가 제한 없이 수집할 수 있다"며 개인 정보 침해 우려를 나타낸 겁니다.
[앵커]
두 기관의 '밥그릇' 다툼으로 보는 시각도 있잖아요?
[기자]
네, 한국은행 입장에서는 고유 업무인 지급결제 권리 영역을 금융위에 빼앗길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라는 평간데요. 두 기관의 주도권 다툼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입니다.
SBS Biz 최나리입니다.
국회 통과를 앞둔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을 둘러싸고, 한국은행과 금융위원회의 갈등이 격해지고 있습니다.
한은이 이번 개정안에 대해 "감시하고 통제하는 의미의 '빅브라더법'"이라고 비판하자,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공개 반박에 나섰습니다.
최나리 기자,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뭐라고 했나요?
[기자]
한국은행의 '빅 브라더' 비판은 '지나친 과장'이라고 반박했습니다.
빅브라더란, 정보의 독점으로 사회를 통제하는 관리 권력을 의미하는데요.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오늘(19일) 서울 은행연합회에서 정책금융기관장과의 간담회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한은이 ‘빅브라더’라고 한 건 오해다. 조금 화가 난다"고 했습니다.
[앵커]
이런 갈등이 나온 배경은 뭡니까?
[기자]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에 따르면 네이버나 카카오 등 빅테크 기업은 지급결제청산기관인 금융결제원을 거쳐 이용자와 금융 거래를 해야 하고, 이를 금융위원회가 모두 들여다 볼 수 있습니다.
금융위는 이같은 감독 권한에 대해 만약의 금융사고에 대비한 피해자 보호 차원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통신사처럼 법원의 영장 등 제한적인 경우에만 정보 조회가 가능한 식이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개정안 통과를 반대하는 한국은행은 최근 입장 자료를 내고 전금법 개정안이 '빅브라더' 수단이 될 수 있다고 강하게 비판하며 갈등이 커지고 있습니다.
한은이 "빅테크 업체의 모든 거래정보를 금융위가 제한 없이 수집할 수 있다"며 개인 정보 침해 우려를 나타낸 겁니다.
[앵커]
두 기관의 '밥그릇' 다툼으로 보는 시각도 있잖아요?
[기자]
네, 한국은행 입장에서는 고유 업무인 지급결제 권리 영역을 금융위에 빼앗길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라는 평간데요. 두 기관의 주도권 다툼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입니다.
SBS Biz 최나리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한 때 국민고시였던 '이 자격증'…'개업은 커녕 폐업 걱정'
- 2.[단독] 이재명, 당선되면 3일 뒤 청와대 간다 [대선 2025]
- 3.[단독] 삼성전기, 주 52시간 관리 논란…고용부 조사 검토
- 4.'백발 아빠는 일하고 청년 아들은 백수'…이유 물어보니
- 5.5월 초 황금연휴 없다…"2일 출근하세요"
- 6."쌀 때 사두자"…은행들 한 달 새 4조 쓸어 담은 '이것'
- 7.[단독] 이재명, 부동산 '우클릭'..기본주택·국토보유세 설계자 빠졌다 [대선 2025]
- 8.국민연금 때문에 땅치고 후회?…31만명 건보료 유탄
- 9.HLB ·브릿지 줄줄이 고배…신약개발 '빨간불'
- 10.SK 달래기 통했나?…한미반도체, 기업설명회 돌연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