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장기화에 신음하는 20대…신용불량 청년 늘어난다
SBS Biz 권준수
입력2021.02.15 11:22
수정2021.02.15 11:57
[앵커]
청년 '실신세대' 라는 말, 들어보셨을 겁니다.
청년들이 사회에 첫 발을 내딛기도 전에 실업난을 견디지 못하고 신용불량자로 전락한다는 말인데요.
설 연휴에도 마음 편히 쉴 수 없었던 청년들의 모습을 권준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학자금 대출만 3천만원 가까이 받은 취업준비생 조모 씨.
아르바이트로 겨우겨우 학자금 대출의 절반 가량을 갚았지만 일자리 구하기가 어렵다보니 채무 부담은 커져만 갑니다.
[조모 씨 / 20대: 아르바이트비 대부분은 생활비에 보태고 있고요. 빚을 안고 간다는게 부담스러운 것 같아요. 나중에 갚더라도 결국 빚이니까 1,600만원이 적은 금액이 아니잖아요.]
문제는 청년층의 부채와 재무건전성입니다.
지난해 20대의 '자산 대비 부채비율'은 32.5%로 그 전해보다 3.4%포인트 늘었습니다.
20대의 신용대출도 늘고 있습니다.
지난해 1월까지만 해도 신용대출을 받은 금액은 5조원대였지만 12월 가서는 40% 이상 늘어난 7조 5천억원에 달했습니다.
특히 올해 들어 청년 실업률이 다른 연령대보다 2배나 높은 9.5%로 치솟으면서 청년들의 빚 상환 부담은 더 커졌습니다.
실제로 최근 3년 동안 신용회복위원회를 찾아 채무조정을 신청하는 청년층도 계속 늘고 있는데 지난해엔 2만 8천명을 넘었습니다.
심각해지는 청년 신용불량자를 막기위해 정부도 팔을 걷고 나섰습니다.
[김석경 / 신용회복위원회 선임조사역 : 미취업청년에 대해서는 작년 12월 상환유예기간을 4년에서 5년으로 늘리고 지원대상자 연령도 만 29세에서 만 34세까지 확대하였습니다.]
하지만 빚을 빚으로 갚는 다중채무자도 30대 이하 청년층에서 크게 늘고 있어 청년 신용불량 문제가 악순환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SBS Biz 권준수입니다.
청년 '실신세대' 라는 말, 들어보셨을 겁니다.
청년들이 사회에 첫 발을 내딛기도 전에 실업난을 견디지 못하고 신용불량자로 전락한다는 말인데요.
설 연휴에도 마음 편히 쉴 수 없었던 청년들의 모습을 권준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학자금 대출만 3천만원 가까이 받은 취업준비생 조모 씨.
아르바이트로 겨우겨우 학자금 대출의 절반 가량을 갚았지만 일자리 구하기가 어렵다보니 채무 부담은 커져만 갑니다.
[조모 씨 / 20대: 아르바이트비 대부분은 생활비에 보태고 있고요. 빚을 안고 간다는게 부담스러운 것 같아요. 나중에 갚더라도 결국 빚이니까 1,600만원이 적은 금액이 아니잖아요.]
문제는 청년층의 부채와 재무건전성입니다.
지난해 20대의 '자산 대비 부채비율'은 32.5%로 그 전해보다 3.4%포인트 늘었습니다.
20대의 신용대출도 늘고 있습니다.
지난해 1월까지만 해도 신용대출을 받은 금액은 5조원대였지만 12월 가서는 40% 이상 늘어난 7조 5천억원에 달했습니다.
특히 올해 들어 청년 실업률이 다른 연령대보다 2배나 높은 9.5%로 치솟으면서 청년들의 빚 상환 부담은 더 커졌습니다.
실제로 최근 3년 동안 신용회복위원회를 찾아 채무조정을 신청하는 청년층도 계속 늘고 있는데 지난해엔 2만 8천명을 넘었습니다.
심각해지는 청년 신용불량자를 막기위해 정부도 팔을 걷고 나섰습니다.
[김석경 / 신용회복위원회 선임조사역 : 미취업청년에 대해서는 작년 12월 상환유예기간을 4년에서 5년으로 늘리고 지원대상자 연령도 만 29세에서 만 34세까지 확대하였습니다.]
하지만 빚을 빚으로 갚는 다중채무자도 30대 이하 청년층에서 크게 늘고 있어 청년 신용불량 문제가 악순환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SBS Biz 권준수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금값 끝없이 오르는데…쳐다도 안보는 한국은행, 왜?
- 2.[단독] 네이버, 가품 논란에 '초강수'…1년 정산금 안 준다
- 3.[단독] '짝퉁 패딩' 또 나왔다…네이버·지그재그·에이블리·W컨셉 등 판매
- 4.삼양 '불닭 천하' 흔들리나…트럼프 '매운맛' 예고
- 5.전기차 이러다 방전될라...차값 깎아주다 결국은
- 6.'17억 갑자기 생겼다'…50% 성과급에 로또까지 누구일까?
- 7.돌반지 지금 팔까요? 말까요?…금값 최고라는데
- 8.당첨되면 최소 3억 번다…세종에 57만명 몰렸다
- 9.1만원대 5G 20기가 요금제 곧 나온다
- 10.연휴 때 먹은 삼겹살·김치, 원산지 조사하니 '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