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사히·유니클로 철수설 솔솔…속쓰린 롯데
SBS Biz 김완진
입력2021.02.08 11:19
수정2021.02.08 14:05
[앵커]
일본 불매운동 여파가 햇수로 3년차에 접어든 가운데, 주류와 패션 등에서 일본 제품이 여전히 맥을 못 추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롯데와 합작법인 형태로 설립된 회사들의 철수설이 꾸준히 나오고 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죠.
김완진 기자, 주류 쪽부터 볼까요.
일본맥주 대표격인 아사히맥주 철수설이 나오네요?
[기자]
네, 롯데아사히주류가 1년 사이 2번이나 희망퇴직 신청을 받으면서인데요.
최근 전체 임직원 대상 희망퇴직 신청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지난해 5월 첫 희망퇴직으로 수십 명이 나간 이후, 남은 200여 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9개월 만에 또 신청을 받는 건데요.
통상임금 10개월 분 위로금 지급을 기본으로, 만 40세 이상 근속연수 10년 이상 직원에게는 창업지원금 700만 원을 추가 지급할 예정입니다.
[앵커]
일본 불매 여파가 여전한 겁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롯데아사히주류는, 롯데칠성음료와 일본 아사히그룹홀딩스가 지분 50%씩 보유한 합작 법인인데요.
2019년 시작한 일본 불매 여파가 길어지면서 지난해 일본 맥주 수입액이 전년 대비 약 90% 급감한 가운데, 아사히맥주는 수입맥주 시장점유율 1위에서 10위 밑으로 추락했습니다.
2019년 영업손실 198억 원으로 적자 전환했고, 지난해도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했는데요.
4캔 1만 원 행사도 벌였지만 소비자 마음을 돌리지 못했고, 잇따라 희망퇴직을 진행하면서 철수설까지 나오는 상황입니다.
[앵커]
유니클로도 롯데와 합작 관계에 있죠?
[기자]
일본 패스트리테일링과 롯데쇼핑이 지분 51%, 49%를 나눠 가진 합작법인 FRL코리아가 운영하고 있습니다.
롯데아사히와 마찬가지로 롯데가 일본회사와 합작관계를 맺고 있는 만큼, 불매 여파에 계속 고전하고 있는데요.
1년 동안 한국에서만 900억 원의 순손실을 낸 가운데 이달에만 전국 10곳 매장이 문을 닫으면서, 철수 준비에 나서고 있는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옵니다.
SBS Biz 김완진입니다.
일본 불매운동 여파가 햇수로 3년차에 접어든 가운데, 주류와 패션 등에서 일본 제품이 여전히 맥을 못 추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롯데와 합작법인 형태로 설립된 회사들의 철수설이 꾸준히 나오고 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죠.
김완진 기자, 주류 쪽부터 볼까요.
일본맥주 대표격인 아사히맥주 철수설이 나오네요?
[기자]
네, 롯데아사히주류가 1년 사이 2번이나 희망퇴직 신청을 받으면서인데요.
최근 전체 임직원 대상 희망퇴직 신청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지난해 5월 첫 희망퇴직으로 수십 명이 나간 이후, 남은 200여 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9개월 만에 또 신청을 받는 건데요.
통상임금 10개월 분 위로금 지급을 기본으로, 만 40세 이상 근속연수 10년 이상 직원에게는 창업지원금 700만 원을 추가 지급할 예정입니다.
[앵커]
일본 불매 여파가 여전한 겁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롯데아사히주류는, 롯데칠성음료와 일본 아사히그룹홀딩스가 지분 50%씩 보유한 합작 법인인데요.
2019년 시작한 일본 불매 여파가 길어지면서 지난해 일본 맥주 수입액이 전년 대비 약 90% 급감한 가운데, 아사히맥주는 수입맥주 시장점유율 1위에서 10위 밑으로 추락했습니다.
2019년 영업손실 198억 원으로 적자 전환했고, 지난해도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했는데요.
4캔 1만 원 행사도 벌였지만 소비자 마음을 돌리지 못했고, 잇따라 희망퇴직을 진행하면서 철수설까지 나오는 상황입니다.
[앵커]
유니클로도 롯데와 합작 관계에 있죠?
[기자]
일본 패스트리테일링과 롯데쇼핑이 지분 51%, 49%를 나눠 가진 합작법인 FRL코리아가 운영하고 있습니다.
롯데아사히와 마찬가지로 롯데가 일본회사와 합작관계를 맺고 있는 만큼, 불매 여파에 계속 고전하고 있는데요.
1년 동안 한국에서만 900억 원의 순손실을 낸 가운데 이달에만 전국 10곳 매장이 문을 닫으면서, 철수 준비에 나서고 있는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옵니다.
SBS Biz 김완진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집이 효자네'…실버타운 가도 연금 받고, 월세도 받는다?
- 2.[단독] 네이버, 가품 논란에 '초강수'…1년 정산금 안 준다
- 3.'2900원 짜장면에 삼각김밥 덤'…한끼 식사 거뜬, 어디야?
- 4.금값 끝없이 오르는데…쳐다도 안보는 한국은행, 왜?
- 5.월급 300만원 직장인, 국민연금 1440만원 더 받는 비결은?
- 6.'애들 키우고, 빚 갚다보니'…빈곤 내몰린 노인들
- 7.대학 합격했다고 좋아했는데…이 소식에 부모님 '한숨'
- 8.삼양 '불닭 천하' 흔들리나…트럼프 '매운맛' 예고
- 9.'작년 137만명, 어쩔 수 없이 짐 쌌다'…남일 아니네
- 10.'밥 짓는 대신 급하면 햇반 돌립니다'…결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