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데이터 시대 개막…내 정보 어디서 어떻게 볼까?
SBS Biz 오정인
입력2021.02.04 18:02
수정2021.02.04 19:23

[앵커]
은행 등 여러 곳에 흩어져 있는 개인 정보를 하나로 모으는 마이데이터가 내일부터 시작합니다.
지금까진 여러 기업들이 관련 서비스를 출시했지만, 내일부터는 허가받은 사업자만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어떤 점들이 달라지는지 오정인 기자와 알아보겠습니다.
소비자들은 내 정보를 어디에서 어떻게 볼 수 있는지 가장 궁금할 텐데, 어떻게 확인할 수 있습니까?
[기자]
은행이나 핀테크 기업들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본인의 은행이나 증권 계좌, 신용카드 등을 앱과 연결해 여러 정보를 한곳으로 모으는 방식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건 뱅크샐러드입니다.
자산 관리부터 추천 상품까지 다양합니다.
지금 내가 사용하는 신용카드 대신 어떤 카드를 쓰면 얼마나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네이버파이낸셜과 국민은행은 이번 주부터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를 출시했습니다.
연령대나 성별이 같은 이용자들과 자산을 비교해볼 수 있는 신용관리, 자산관리 서비스입니다.
[앵커]
그런데 기업들마다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큰 차이는 없어 보이는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마이데이터 사업자로 허가받은 기업이 모두 28곳이지만, 앞서 보신 것처럼 자산관리 서비스가 대부분입니다.
업계 관계자들은 "새로운, 획기적인 서비스를 출시하긴 아직 이르다"며 "은행 계좌나 대출, 보험이나 증권 등 다양한 데이터 가운데 어떤 걸 어떻게 가공해서 쓸지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때문에 올 연말쯤에나 자산관리 형식에서 벗어난 새로운 서비스가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당장 내일부터는 이용할 수 없는 서비스들도 있습니까?
[기자]
네, 하나은행과 하나카드, 삼성카드, 그리고 카카오페이 등은 기존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대주주 적격성 문제로 허가를 받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결국 하나은행 내자산연구소는 오늘(4일) 오후 6시부터 서비스가 중단됐고요.
카카오페이 역시 일부 기능을 오늘 밤 12시부터 잠정 중단합니다.
당국은 대주주 문제가 해결되면 언제든 심사를 재개할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업계는 빠른 시일 내 해소되긴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앵커]
오정인 기자, 잘 들었습니다.
은행 등 여러 곳에 흩어져 있는 개인 정보를 하나로 모으는 마이데이터가 내일부터 시작합니다.
지금까진 여러 기업들이 관련 서비스를 출시했지만, 내일부터는 허가받은 사업자만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어떤 점들이 달라지는지 오정인 기자와 알아보겠습니다.
소비자들은 내 정보를 어디에서 어떻게 볼 수 있는지 가장 궁금할 텐데, 어떻게 확인할 수 있습니까?
[기자]
은행이나 핀테크 기업들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본인의 은행이나 증권 계좌, 신용카드 등을 앱과 연결해 여러 정보를 한곳으로 모으는 방식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건 뱅크샐러드입니다.
자산 관리부터 추천 상품까지 다양합니다.
지금 내가 사용하는 신용카드 대신 어떤 카드를 쓰면 얼마나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네이버파이낸셜과 국민은행은 이번 주부터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를 출시했습니다.
연령대나 성별이 같은 이용자들과 자산을 비교해볼 수 있는 신용관리, 자산관리 서비스입니다.
[앵커]
그런데 기업들마다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큰 차이는 없어 보이는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마이데이터 사업자로 허가받은 기업이 모두 28곳이지만, 앞서 보신 것처럼 자산관리 서비스가 대부분입니다.
업계 관계자들은 "새로운, 획기적인 서비스를 출시하긴 아직 이르다"며 "은행 계좌나 대출, 보험이나 증권 등 다양한 데이터 가운데 어떤 걸 어떻게 가공해서 쓸지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때문에 올 연말쯤에나 자산관리 형식에서 벗어난 새로운 서비스가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당장 내일부터는 이용할 수 없는 서비스들도 있습니까?
[기자]
네, 하나은행과 하나카드, 삼성카드, 그리고 카카오페이 등은 기존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대주주 적격성 문제로 허가를 받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결국 하나은행 내자산연구소는 오늘(4일) 오후 6시부터 서비스가 중단됐고요.
카카오페이 역시 일부 기능을 오늘 밤 12시부터 잠정 중단합니다.
당국은 대주주 문제가 해결되면 언제든 심사를 재개할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업계는 빠른 시일 내 해소되긴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앵커]
오정인 기자, 잘 들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동네 금고 사라진다…새마을금고 줄폐점, 왜?
- 2.건보료 327억원 돌려 받으세요…3년 지나면 소멸
- 3.은행권, 18일부터 '벼랑끝' 소상공인 이자 깎아준다
- 4.[단독] '가격 인상' 지코바, 브라질산 닭고기 국내산으로 '적발'
- 5."한국에 쌀 사러 왔습니다"…'日 쌀값 얼마나 비싸길래'
- 6.[단독] 연 2.4%로 집 산다…청년주택드림대출 18일부터
- 7.암 보험금 설명 의무 없다던 생보사 '발칵'…왜?
- 8.1주택자 세금 부담 덜었다…올해도 세부담 완화
- 9.사고 났는데 나 몰라라 포스코이앤씨, 용산정비창 수주 빨간불
- 10.[단독] LG전자, 휴대폰 AS 서비스 접는다…모바일 사업 철수 마침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