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백신, 안심해도 돼”…셀트리온 치료제 허가 막바지
SBS Biz 이한나
입력2021.01.18 17:54
수정2021.01.18 19:01
[앵커]
해외에서 백신을 맞은 고령 환자 사망이 잇따르면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데요.
문재인 대통령이 백신과 관련해 "안심해도 된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백신과 함께 국산 치료제에도 관심이 높은데, 다음 달 초부터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한나 기자, 문 대통령이 백신 관련해서 한 얘기부터 전해주시죠?
[기자]
문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에서 다음 달부터 9월까지 접종이 필요한 국민들을 대상으로 1차 접종을 마무리하고, 11월에는 집단 면역이 형성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부작용에 대해 우려에 대해서는 안심해도 된다고 덧붙였는데요.
직접 들어보시죠.
[문재인 / 대통령 : 한국에서 접종이 시행되는 백신의 안전성에 대해선 국민들께서 안심하셔도 된다. 통상의 범위를 넘어서는 부작용이 발생할 경우 정부가 충분히 보상한다.]
[앵커]
치료제에 대한 관심도 높은데, 식약처 자문단이 허가 관련 입장을 내놨다면서요?
[기자]
식약처가 허가를 내줄 때 안전성, 효과를 검증하는 기구가 자문단입니다.
식약처가 허가여부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곳인데요.
자문단은 셀트리온 치료제에 대해 "증상 개선에 걸리는 시간이 사흘 반 넘게 줄었다"며 "임상 3상 전제로 조건부 허가를 내줄 것"을 제안했습니다.
앞서 정세균 국무총리는 셀트리온 치료제와 관련해 "남은 심사 절차가 차질없이 진행된다면 다음 달 초부터 방역현장에 투입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어제(17일) 하루 동안 코로나 확진자는 389명으로 작년 11월 이후 처음으로 300명 대를 기록했습니다.
SBS Biz 이한나입니다.
해외에서 백신을 맞은 고령 환자 사망이 잇따르면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데요.
문재인 대통령이 백신과 관련해 "안심해도 된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백신과 함께 국산 치료제에도 관심이 높은데, 다음 달 초부터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한나 기자, 문 대통령이 백신 관련해서 한 얘기부터 전해주시죠?
[기자]
문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에서 다음 달부터 9월까지 접종이 필요한 국민들을 대상으로 1차 접종을 마무리하고, 11월에는 집단 면역이 형성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부작용에 대해 우려에 대해서는 안심해도 된다고 덧붙였는데요.
직접 들어보시죠.
[문재인 / 대통령 : 한국에서 접종이 시행되는 백신의 안전성에 대해선 국민들께서 안심하셔도 된다. 통상의 범위를 넘어서는 부작용이 발생할 경우 정부가 충분히 보상한다.]
[앵커]
치료제에 대한 관심도 높은데, 식약처 자문단이 허가 관련 입장을 내놨다면서요?
[기자]
식약처가 허가를 내줄 때 안전성, 효과를 검증하는 기구가 자문단입니다.
식약처가 허가여부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곳인데요.
자문단은 셀트리온 치료제에 대해 "증상 개선에 걸리는 시간이 사흘 반 넘게 줄었다"며 "임상 3상 전제로 조건부 허가를 내줄 것"을 제안했습니다.
앞서 정세균 국무총리는 셀트리온 치료제와 관련해 "남은 심사 절차가 차질없이 진행된다면 다음 달 초부터 방역현장에 투입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어제(17일) 하루 동안 코로나 확진자는 389명으로 작년 11월 이후 처음으로 300명 대를 기록했습니다.
SBS Biz 이한나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수도권 제2순환 '파주∼양주' 구간 고속도로 내일 개통
- 2.[트렌딩 핫스톡] 퀀텀 컴퓨팅, 나사와 계약 체결⋯주가 52% 폭등
- 3.토요일 눈 '펑펑' 쏟아진다…일요일엔 한파
- 4.[어제장 오늘장] 오늘 일본은행 기준금리 발표…시장 분위기 흐름 주목
- 5.[단독] 신한銀, 500명 희망퇴직 신청…서른아홉 행원, 어디로?
- 6.'겁나서 한국 못가' 사우디 왕자 취소...계엄이 다 망쳤다
- 7.연봉 7000만원 직장인, 월급 30만원 더 오른다
- 8.평생월급 퇴직연금 더 받는 비결은?…금감원 꿀팁
- 9.트럼프 한마디에 美 셧다운 위기…민주 "어이 없다"
- 10.파월 "소유 불가" 발언에…비트코인, 10만 달러 붕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