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 시즌 시작” 뭐가 달라졌나?
SBS Biz 오수영
입력2021.01.13 19:17
수정2021.01.13 21:42

연말정산, 직장인의 연초 숙제 중 하나죠. 오는 금요일부터 필요한 자료를 조회할 수 있는데, 올해 달라진 점과 주의해야 할 점은 뭐가 있는지 짚어보겠습니다. 소득공제율과 공제한도액, 어떻게 바뀌었습니까?
지난해 코로나로 워낙 어려움이 크다 보니까 정부가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또 현금 사용액의 소득공제율을 높였습니다.
지난해 3월부터 7월까지 신용카드 소득공제율을 최대 80%까지 높였고, 공제한도액도 30만원 늘렸습니다.
만약 연봉 4천만원인 직장인이 신용카드를 매달 100만원씩 즉 1년간 1200만원을 썼다면 소득공제 금액이 160만원으로 늘어나고 이에 따라 4만 5천원을 돌려받게 됩니다.
절차는 좀 더 간편해졌습니까?
네, 그동안 일일이 영수증 찾아서 직접 내야 했던 자료 중 일부가 이번 연말정산부터는 자동으로 입력이 됩니다.
공공임대주택 사업자에게 지급한 월세액과 안경과 렌즈 구입비, 그리고 의료비 중 실손의료보험 보험금은 간소화 시스템에 저절로 반영됩니다.

만약 이런 자료들이 보이지 않는다면 15일부터 17일까지 '조회되지 않는 의료비 신고센터'에 신고하면 되고 20일부터 조회 가능합니다.
다만 취학 전 아동의 학원비 등 여전히 자동으로 조회되지 않는 항목도 있어, 이 부분은 따로 영수증을 받아서 회사에 내야 합니다.
또 소득신고서와 세액신고서가 자동으로 채워지는데요.
이에 따라 원래 4단계였던 신고서 작성 과정이 2인 이상 가구는 2단계, 1인 가구라면 1단계면 끝낼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도 있습니까?
네, 누락 없이 공제받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게 부당공제로 가산세를 물지 않는 건데요.
전문가 얘기 먼저 들어보시죠.
[김태윤 / 세무사 : 2020년에 부모님이 퇴직했다든지 부동산을 처분해서 양도소득이 발생했다든지 하면 부양가족 기본 요건에 해당되지 않을 수 있어서 부당공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추징될 경우 원래 내야 됐던 세금뿐 아니라 불성실 가산세가 붙을 수 있으니….]
또 '중복공제' 실수도 많이 발생하는데요.
연 소득 100만원이 넘는 부양가족의 인적공제, 맞벌이 부부의 자녀 중복공제, 그리고 형제자매의 부모 중복공제 등이 대표적인 실수라고 하니까 주의하셔야 합니다.
눈여겨보셔야 할 것들이 꽤 있군요. 오수영 기자, 잘 들었습니다.
지난해 코로나로 워낙 어려움이 크다 보니까 정부가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또 현금 사용액의 소득공제율을 높였습니다.
지난해 3월부터 7월까지 신용카드 소득공제율을 최대 80%까지 높였고, 공제한도액도 30만원 늘렸습니다.
만약 연봉 4천만원인 직장인이 신용카드를 매달 100만원씩 즉 1년간 1200만원을 썼다면 소득공제 금액이 160만원으로 늘어나고 이에 따라 4만 5천원을 돌려받게 됩니다.
절차는 좀 더 간편해졌습니까?
네, 그동안 일일이 영수증 찾아서 직접 내야 했던 자료 중 일부가 이번 연말정산부터는 자동으로 입력이 됩니다.
공공임대주택 사업자에게 지급한 월세액과 안경과 렌즈 구입비, 그리고 의료비 중 실손의료보험 보험금은 간소화 시스템에 저절로 반영됩니다.

만약 이런 자료들이 보이지 않는다면 15일부터 17일까지 '조회되지 않는 의료비 신고센터'에 신고하면 되고 20일부터 조회 가능합니다.
다만 취학 전 아동의 학원비 등 여전히 자동으로 조회되지 않는 항목도 있어, 이 부분은 따로 영수증을 받아서 회사에 내야 합니다.
또 소득신고서와 세액신고서가 자동으로 채워지는데요.
이에 따라 원래 4단계였던 신고서 작성 과정이 2인 이상 가구는 2단계, 1인 가구라면 1단계면 끝낼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도 있습니까?
네, 누락 없이 공제받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게 부당공제로 가산세를 물지 않는 건데요.
전문가 얘기 먼저 들어보시죠.
[김태윤 / 세무사 : 2020년에 부모님이 퇴직했다든지 부동산을 처분해서 양도소득이 발생했다든지 하면 부양가족 기본 요건에 해당되지 않을 수 있어서 부당공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추징될 경우 원래 내야 됐던 세금뿐 아니라 불성실 가산세가 붙을 수 있으니….]
또 '중복공제' 실수도 많이 발생하는데요.
연 소득 100만원이 넘는 부양가족의 인적공제, 맞벌이 부부의 자녀 중복공제, 그리고 형제자매의 부모 중복공제 등이 대표적인 실수라고 하니까 주의하셔야 합니다.
눈여겨보셔야 할 것들이 꽤 있군요. 오수영 기자, 잘 들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83억 집, 골드바 100개, 생활비 월 7천 '펑펑'…누군가봤더니
- 2.'진짜 전기요금 적게 나온다'…에어컨 요금 아끼는 법
- 3.에어컨 종일 켜는게 낫다?…전기요금 이렇게 아낀다
- 4.'월세가 차 한 대값'…3700만원에 월세 계약한 아파트
- 5.월급 통장에 '1000만원' 꽂혔다…부럽다 이 나라 직장인
- 6.연 48만원도 더 받는다는데…'가족연금' 더 받는 꿀팁
- 7.[단독] '72억 날리는데도 계약 포기'…세종서 사전청약 '사업취소'
- 8.테슬라 어쩌나…트럼프 맞선 머스크 "아메리카당 오늘 창당"
- 9.“월70만·5년 부으면 5천만원" 이 통장…급하면 부분인출 하세요
- 10.소비쿠폰 언제 어떻게 신청하나?…주번, 요일별